분야 : 종교·철학 4,27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종교·철학
  • 강고집 / 江皐集 [종교·철학/유학]

    강고 류심춘의문집.목판본,19권10책. 서문과 발문이 없어 구체적인 간행상황을 알 수 없다. 문집 구성을 살펴보면, 권1은 시135제, 권2는 소 6편, 연설 2편, 권3∼7은 서 271편, 권8∼9는 잡저 8편, 권10은 서의 22편, 기 4편, 발 8편, 권11은

  • 강구손 / 姜龜孫 [종교·철학/유학]

    1450(세종 32)∼1505(연산군 11). 조선 전기의 문신. 도순문사 강회백 증손, 할아버지는 지돈녕부사 강석덕, 아버지는 좌찬성 강희맹, 어머니는 관찰사 안숭효의 딸이다. 1479년(성종 10)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이조참의, 좌승지, 도승지, 경기도관찰사

  • 강규찬 / 姜奎燦 [종교·철학/개신교]

    1874년∼1945년. 장로교 목사. 평안북도 선천 출신. 예수교장로회 선교부가 경영하는 선천 신성중학교(信聖中學校)에서 봉직하면서, 민족정신을 함양하는 교육자로 활동하였다. 그때 백낙준·박형룡·정석해 등이 그의 가르침을 받았다. 1911년 105인사건에 연루되어 이승

  • 강규환 / 姜奎煥 [종교·철학/유학]

    1697(숙종 23)∼1731(영조 7). 조선 후기의 문신. 찬성 강희맹의 후손, 아버지는 강주천이다. 한원진·권상하의 문인이다. 1728년(영조 4) 이인좌의 난이 일어나자, 영남안무사 박사수의 종사관으로 수행, 안동에 이르러 경상도 사민을 모아 군대를 편성, 군사

  • 강기준 / 姜基準 [종교·철학/유학]

    1876-1954. 일제강점기 유학자. 자는 낙언(樂彦)이고, 호는 난파(蘭坡)이다. 본관은 신천(信川)이다. 호남의 거유(巨儒) 참판(參判) 기정진(奇正鎭)의 손자 송사(松沙) 기우만(奇宇萬)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이후 후진 양성에 힘써 많은 문인들을 배출하였다.

  • 강당 / 講堂 [종교·철학/유학]

    유생들이 경학을 공부하는 서원 건물의 하나. 서원의 강당을 일컫는다. 서원의 강당에는 밖으로 서원 명칭의 편액이 걸리고 안으로는 백록동규를 비롯한 원기 및 각종 잠·명이 걸리게 된다. 우리 나라 서원 강당의 배치양식은 중국과 유사하나 규모가 작고, 전아한 것이 특색이

  • 강도사 / 講道師 [종교·철학/개신교]

    장로교 교역자의 일종. 장로교의 교리를 가르칠 수 있는 선생. 한국 장로교회에서는 장로회총회가 조직된 직후부터 기록에 나타난다. 강도사 자격은 교단에 따라서 약간의 차이가 있으며, 기본적으로 교단 총회신학교에서 3년의 과정을 마친 후에 총회에서 시행하는 강도사 고시에

  • 강도영 / 姜道永 [종교·철학/천주교]

    항일기의 천주교인·신부(1863-1929). 우리나라 처음으로 사제로 서품된 한국인 신부 3인 중 한 명으로, 세례명은 마르코이다. 1896년 약현성당에서 사제서품을 받았고, 경기도 안성의 미리내 본당의 초대 주임신부로 부임했으며, 첫번째 한국인 신부인 김대건 안드레

  • 강릉단오제 / 江陵端午祭 [종교·철학/민간신앙]

    강원도 강릉지방에 전승되는 향토신제(鄕土神祭). 중요무형문화재 제13호. 대관령서낭을 제사하며, 산로 안전(山路安全)과 풍작·풍어, 집안의 태평 등을 기원하는 제의이자 축제라고 할 수 있다. 음력 3월 20일부터 제사에 소용될 신주(神酒)를 빚는 데서 시작하여 단오 다

  • 강매 / 姜邁 [종교·철학/개신교]

    1878-1941. 장로, 기독교 문필가. 최병현, 전덕기 등과 교류하면서 기독교인이 되었다. 정동교회에 출석하였으며, 장로로 시무하였다. 1907년 일본대학 고등사범 수법과를 졸업하였다. 귀국후 배재학당 등에서 가르쳤다. 언론계에도 투신하여 조선일보, 중앙일보, 시대

페이지 / 428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