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종교·철학 > 유학 3,57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종교·철학 > 유학
  • 이천상 / 李天相 [종교·철학/유학]

    1637(인조 15)∼1708(숙종 34). 조선 후기의 학자. 아버지는 군정, 어머니는 민희남의 딸이다. 배유장의 문인으로 성리학에 정통, 일상생활에 몸소 실천하려고 노력하였고, 항상 이황·이재를 사숙하였다. 영천의 신계 상류에 살았기 때문에 신계옹이라 불렀다. 저서

  • 이철견 / 李鐵堅 [종교·철학/유학]

    1435(세종 17)∼1496(연산군 2). 조선 전기의 무신. 원보 증손, 할아버지는 승, 아버지는 연손, 어머니는 윤번의 딸이다. 세조비 정희왕후의 동생이다. 한성부판관, 훈련원도정, 평안도절도사, 경상도관찰사, 대사헌, 도총관 등을 역임하였다.1493년에 척신으로

  • 이철보 / 李喆輔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91∼1775). 1723년(경종 3)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이듬해 예문관검열로 기용된 뒤 중앙의 삼사와 각 조의 판사를 역임하였고 지방관 및 암행어사를 수행할 때는 탐관오리를 적발하고 민정을 시찰하였다. 1752년 《국조오례의》를

  • 이총언 / 李悤言 [종교·철학/유학]

    858(헌안왕 2)∼938(태조 21). 신라 말 고려 초의 호족. 왕건이 고려를 건국한 뒤에 그에게 사람을 보내어 마음을 같이하고 힘을 합하여 화란을 평정할 것을 호소하자 매우 기뼈하며 아들 영을 보내어 군사를 거느리고 왕건을 도와 후백제와의 전쟁에 참여하도록 하였다

  • 이최응 / 李最應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15∼1882). 이하응의 형으로 민씨정권의 주요인물이며 영의정·총리대신을 지냈으며 연미론을 적극 수용하여 미국과의 조약 체결을 환영하였다. 이후 유림들의 비판을 받아 위치가 흔들리다 임오군란 때 살해되었다.

  • 이최중 / 李最中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15∼1784). 1751년 별시 문과에 을과로 급제, 세자시강원 사서·홍문관교리·수찬 등을 역임하였다. 1757년 이후 홍문관응교·삼척부사·대사간·이조참의·부제학·예조참판·대사헌·형조판서 등을 역임하였으며, 1770년 《문헌비고》 편찬 때 편집

  • 이춘근 / 李春根 [종교·철학/유학]

    1883(고종 20) - 1954. 이버지는 윤수, 어머니는 창원황씨이다. 부인은 박승구의 딸이다. 박우현에게 글을 배우기 시작했고, 1907년(순종 1) 고암 김세락에게 3~4년간 집중적으로 사사하여 학문이 크게 발전하였고 유림사회에 많은 문제를 신중하게 처리하였다

  • 이충 / 李沖 [종교·철학/유학]

    1568(선조 1)∼1619(광해군 11). 조선 중기의 문신. 보 7대손, 대 증손, 할아버지는 양, 아버지는 정빈, 어머니는 최희령의 딸이다. 1600년(선조 33)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무장현감, 성천부사, 형조정랑, 광주목사, 형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 이충국 / 李忠國 [종교·철학/유학]

    1715년(숙종 41)∼1777년(정조 1). 조선 후기 문신. 증조는 이문한, 조부는 이재필, 부친은 이지. 외조부는 권태영, 처부는 남도형이다. 숙부 이천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750년(영조 26) 식년시 병과 7위로 급제한 후, 고창군수로 부임하여 많은 선정을

  • 이충호 / 李忠鎬 [종교·철학/유학]

    1872년(고종 9)∼1951년. 일제 강점기 유학자. 이황의 종손, 부친은 이중경이다. 이만인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900년(광무 4) 장릉참봉을 지냈으며, 주자학과 퇴계학에 전념하였다. 해방 후에는 보문의숙을 세우고 가르침을 베풀었다.《주서절요》·《계몽전의》·《

페이지 / 358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