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종교·철학 > 불교 32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종교·철학 > 불교
  • 가람고 / 伽藍考 [종교·철학/불교]

    조선후기 문신·학자 신경준이 지방에 있는 절의 명칭과 소재지·기문 등을 기록한 불교서. 사찰자료집. 1책. 사본. 간행연대는 미상이다. 『여암전서(旅庵全書)』의 별본으로 초사(抄寫)한 사찰지(寺刹誌)로서, 모두 520여개의 절이 수록되어 있다.본격적인 사찰 자료는 아니

  • 가산고 / 伽山藁 [종교·철학/불교]

    조선후기 승려 계오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52년에 간행한 시문집. 조선 후기의 승려였던 월하 계오의 시문집으로, 총 204수의 시와 상량문·서문·비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자신의 심회를 읊은 시가 많으며, 유학자들과 교유한 시도 다수 수록되어 있다. 4권 1책. 발

  • 가산불교대사림 / 伽山佛敎大辭林 [종교·철학/불교]

    1982년 가산불교문화연구원에서 150,000여 불교 술어를 집대성하여 편찬한 사전.불교종합대백과사전. 가산(伽山) 이지관(李智冠, 1932∼2012)이 이끄는 가산불교문화연구원이 15만여 불교 술어를 집대성하여 간행한 불교종합대백과사전이다. ‘일반불교 및 한국불교 술

  • 가산집 / 伽山集 [종교·철학/불교]

    월하 계오(戒悟)의 문집. 4권 1책. <규 6594> <奎 6594>본은 표지제와 판심제는 모두 ‘가산집’이지만 권수제는 ‘가산고’이다. 권1에 오언절구, 오언율시, 칠언절구 약 134수, 권2에 칠언율시 약 74수와 통도사 국재수륙대회에서 각 단에 올린 소 8편,

  • 가송잡저 / 歌頌雜著 [종교·철학/불교]

    고려후기 승려 혼구가 가송을 모아 엮은 불교서.가송집. 일연(一然)의 제자인 혼구의 저서이다. 2권으로 구성되었지만 현재 전하지 않는다. 이제현(李齊賢, 1287∼1367)이 쓴 보감국사비문에 제목만 남아 있다. 조계종의 고승으로 청풍 출신이다. 충렬왕은 대선사(大禪

  • 가야산해인사결계량기 / 伽倻山海印寺結界場記 [종교·철학/불교]

    898년(효공왕 2) 신라 말의 학자 최치원(崔致遠)이 해인사의 사역(寺域)을 확정한 전후 사실을 기록한 글. 해인사는 802년(애자왕 3)에 순응(順應)이 창건하였으며 창건 당시는 그 규모가 작았다. 약 100년이 지난 897년 가을에 다시 중창할 것을 합의하고 90

  • 각해일륜 / 覺海日輪 [종교·철학/불교]

    조선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승려 백용성이 불교경전을 한글로 번역하여 1930년에 간행한 교리서. 근대의 독립운동가이자 승려였던 백용성이 저술한 한글로 쓰인 최초의 불교 교리서이자 대각교(大覺敎)의 이념서이다. 본문 3권과 부록인 「육조단경요역(六祖壇經要譯)」의

  • 간정성유식론단과 / 刊定成唯識論單科 [종교·철학/불교]

    고려전기 승려 의천이 『성유식론』의 과문을 풀이한 주석서. 불교서. 원래 3권이었으나 현재는 서문만 전한다. 해인사에서 간행된 목판본 서문에 따르면,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과 『성유식론(成唯識論)』의 두 논서는 각각 성종(性宗)과 상종(相宗)의 대표적 논서이지만 뜻

  • 간화결의론 / 看話決疑論 [종교·철학/불교]

    고려시대 승려 지눌이 간화선의 우수성을 주장하기 위하여 저술한 불교서. 1책. 네 가지 질문에 대한 대답 형식으로 논리를 전개하고 있는 이 책의 주된 내용은, 화엄종에서 주장하는 법계연기설(法界緣起說)이 이해와 사고를 필요로 하지 않고 바로 깨달음의 길로 들어가는 간화

  • 갈래탑사적 / 葛來塔事蹟 [종교·철학/불교]

    조선후기 승려 성우가 태백산 정암사 오층탑의 내력을 정리하여 1874년에 간행한 사적기. 1권 1책. 목판본. 1874년(고종 11)에 승려 이사(以社)가 간행하였다.이 탑은 수마뇌탑(水瑪瑙塔)이라고도 한다. 신라 선덕왕 때 자장(慈藏)이 불사리(佛舍利)와 대장경 등을

1 2 3 4 5 6 7 8 9 10 끝
페이지 / 33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