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예술·체육 1,838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예술·체육
  • 가구식기단 / 架構式基壇 [예술·체육/건축]

    지대석, 탱주석, 우주석, 면석, 갑석으로 구성된 기단. 기단은 건물 하단에 위치하는 높은 대를 말하는 것으로 지면으로부터 발생한 습기가 건물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고 통풍과 채광 등을 유도하여 쾌적한 환경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기단은 만드는 재료의

  • 가극무용 / 歌劇舞踊 [예술·체육/무용]

    음악을 기본형상수단으로 하는 가극에서 그 형상을 돕는데 이바지하는 북한의 무용양식. 절가화(節歌化)된 노래, 방창과 관현악, 아름답고 고상한 민족무용과 흐름식 입체미술로 엮어진 새로운 혁명가극의 창조는 ‘피바다’식 가극무용의 탄생과 완성을 이루었다. 이는 문학예술을 주

  • 가난타령 / ─打令 [예술·체육/국악]

    판소리 흥보가 중의 한 대목으로, 놀보에게 쫓겨난 흥보 내외가 가난하게 사는 자신의 신세를 한탄하며 부르는 노래. 「가난타령」은 놀보에게 쫓겨난 흥보 내외가 곤궁하게 사는 처지를 슬퍼하며 부르는 신세자탄가로, 슬픈 계면조에 중머리 혹은 진양 장단으로 짜여 있다. 「가난

  • 가락덜이 / 加樂─ [예술·체육/국악]

    「영산회상(靈山會相)」에서 네 번째로 연주되는 곡. ‘영산회상불보살(靈山會相佛菩薩)’의 7자를 노래부르던 불교음악이 가사가 탈락되어 기악화된 「영산회상」에서 「상영산」·「중영산」·「세영산」의 다음에 연주되는 곡이다. 「가락덜이」는 「중영산」·「세영산」과 더불어 「상영산

  • 가릉빈가문 / 迦陵頻伽文 [예술·체육/공예]

    사람의 머리에 새의 몸을 하고 있다는 상상의 새 가릉빈가를 소재로 한 문양. 우리 나라에서는 고구려 고분인 덕흥리(德興里) 벽화고분과 안악(安岳)1호분에 가릉빈가와 유사한 형상이 보이는데, 특히 덕흥리벽화고분의 형상은 머리의 표현을 비롯하여 전체적으로 빈가조의 형상을

  • 가마 / 가마 [예술·체육/공예]

    토기 및 도자기 등을 구워 내는 시설물. 선사시대에는 가마시설이 없어 노천에 토기를 쌓아놓고 그 주위에 나무를 쌓아 그릇을 구워냈는데, 대략 섭씨 500∼600°의 낮은 온도에서 구웠으므로 산소 공급이 많아져 토기 속의 철분이 산화되어 붉은색을 띠었다. 삼국시대의 토기

  • 가무 / 笳舞 [예술·체육/무용]

    신라 신문왕 9년(689) 임금이 신촌(新村)에서 잔치를 베풀 때 추던 춤. 신라 신문왕 9년(689) 임금이 신촌(新村)에서 잔치를 베풀 때 추던 춤. 가(笳)라는 취악기의 반주에 맞추어 추는 춤이다. 감(監) 6인, 가척(笳尺) 2인, 무척(舞尺) 1인으로 구성되나

  • 가무백희 / 歌舞百戱 [예술·체육/무용]

    전통사회에서 각종 노래와 춤이 종합적으로 연행되는 것을 가리키는 음악용어. 가무(歌舞)는 노래와 춤을 말하며, 백희(百戱)는 헤아릴 수 없이 많은 놀이라는 뜻이다. 따라서 가무백희는 여러 종류의 악가무(樂歌舞)가 연행되는 놀이를 뜻한다. ‘가무백희’라는 말은 『삼국사기

  • 가배량성 / 加背梁城 [예술·체육/건축]

    경상남도 거제시 동부면에 있는 조선시대 충무공 이순신 장군 관련 성곽.성곽터. 시도기념물. 경상남도 기념물 제110호. 성의 전체면적 4,920㎡, 둘레 1,495m. 성은 가배리마을 가운데에서 거제만(巨濟灣)을 향하고 있는데 성곽의 외부는 성축(城軸)에 접하여 쌓았다

  • 가사 / 歌詞 [예술·체육/국악]

    가사체(歌辭體)의 긴 사설을 노래한 전통 성악곡. 가사체(歌辭體)의 긴 사설을 일정한 장단의 틀에 넣어서 부르는 노래. 중요무형문화재 제41호. 1971년 1월에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지정당시에는 소남(韶南) 이주환(李珠煥)이 보유자로 지정되었으나 작고하여, 1

1 2 3 4 5 6 7 8 9 10 끝
페이지 / 18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