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역사 2,226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역사
  • 정희왕후 시책문 / 諡冊文 [역사/조선시대사]

    시책문. 1483년(성종 14)에 대왕대비의 상례를 마치고 나서 '정희(貞熹)'라는 존시를 올리고 애도하는 내용의 책문이다. 원문은《성종실록》14년(1483) 5월 25일(병진) 조에도 보인다.

  • 정희왕후 애책문 / 哀冊文 [역사/조선시대사]

    애책문. 1483년(성종 14)에 대왕대비의 상례를 마치고 애도하는 내용의 책문으로 점필재 김종직이 찬술하였다. 원문은《성종실록》14년(1483) 6월 12일(계유) 조와 김종직의《점필재집》권1에 보인다.

  • 제너럴셔먼호사건 / 제너럴셔먼號事件 [역사/근대사]

    1866년 8월 미국 상선(商船) 제너럴 셔먼호가 통상을 요구하다 거절당함으로써 일어난 사건. 셔먼호가 만경대 한사정까지 올라와 통상을 요구하면서 강변의 군민과 대항하던 때, 셔먼호의 승무원들이 강압적인 행동을 자행하면서 주민 7명의 사망과 5명의 부상자가 발생하였다.

  • 제물포조약 / 濟物浦條約 [역사/근대사]

    1882년 8월 30일 임오군란으로 빚어진 양국 간의 문제를 처리하기 위해 조선과 일본 사이에 맺어진 조약. 6개조의 본조약과 2개조의 수호조규속약으로 되어 있다. 제물포조약은 일본의 야심을 그대로 조문화한 불평등조약이다. 또한 과거 그들이 메이지 초기에 서구 제국주의

  • 제사토기 / 祭祀土器 [역사/선사시대사]

    제의(祭儀)의 과정에서 사용되거나 그것과 관련된 행위가 가해져서 변형된 토기. 토기가 제사에서 사용된 사례는 토기가 처음 만들어져 사용되었던 신석기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신석기시대 제사용으로 제작되었다고 볼 수 있는 토기로는 강원도 고성 문암리유적의 매장유구(埋葬遺構

  • 제승당 / 制勝堂 [역사/조선시대사]

    경상남도 통영시 한산면 두억리 한산도에 있는 사당. 이순신이 한산도에 진을 친 이후 늘 이 집에 기거하면서 휘하 참모들과 작전계획을 협의하였던 곳이며 집무실이기도 하다. 원래 운주당 터인데, 1740년에 통제사 조경이 이 옛터에 유허비를 세우고 제승당이라 이름한 데서

  • 제암리3·1운동선열유적 / 堤岩里三一運動先烈遺蹟 [역사/근대사]

    경기도 화성시 향남면 제암리에 있는 3·1운동 순국유적. 사적 제299호. 3·1독립만세운동 당시 일본 헌병이 이 마을 기독교 주민 23명을 집단으로 학살한 만행사건의 유적지를 일컫는다. 1982년 9월 문화공보부의 민족수난현장 정비사업의 일환으로, 이 사건의 목격자이

  • 제주교난 / 濟州敎難 [역사/근대사]

    1901년 제주도민들과 천주교도들 사이에 일어난 충돌사건. 신축교난, 이재수의 난, 제주민란, 제주교란(濟州敎亂)이라고도 한다. 사건의 직접적인 발단은 1901년 2월 9일에 있었던 도민 오신락의 죽음이었다. 이 난은 1901년 제국주의를 등에 업고 막강한 힘을 행사하

  • 제주도통어전연운동 / 濟州島通漁展延運動 [역사/근대사]

    개항 후 일제의 어업권 침해에 맞서 제주도 해역의 어업권을 수호하기 위해 전개되었던 경제자주권 수호운동. 제주도의 주생업인 어업을 일본인 어로자의 침해로부터 수호해야 하는 입장에서, 조선 정부는 일본을 상대로 일본인 어부들의 제주도 통어(通漁 : 出漁)를 지연시키기 위

  • 제주외도동지석묘 / 濟州外都洞支石墓 [역사/선사시대사]

    제주도 제주시 외도동에 있는 철기시대의 고인돌. 959년제주도 종합학술조사단의 김철준(金哲埈)에 의해 처음 보고되었다. 제주시 서쪽을 흐르는 외도천(外都川) 이웃의 구릉지대에 있다. 행정구역은 다르지만 인근의 북제주군 애월읍 광령리 고인돌과 함께 20여 기가 떼를 이루

페이지 / 223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