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역사 2,226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역사
  • 강릉동덕리유적 / 江陵冬德里遺蹟 [역사/선사시대사]

    강원도 강릉시 연곡면 동덕리에 있는 철기시대의 주거지 유적. 출토유물로는 주거지 바닥에서는 경질민무늬토기 2점, 구연부 및 저부 토기편 25점, 파수편(把守片) 4점, 시루편 1점, 회청색 타날문 토기편 4점, 돌화살촉 2점 등이 나왔다. 경질민무늬토기 2점 중 1점은

  • 강릉방내리유적 / 江陵坊內里遺蹟 [역사/선사시대사]

    강원도 강릉시 연곡면 방내리에 있는 청동기시대 전기의 주거지 유적. 발굴 결과, 모두 12기의 움집터[竪穴住居址]를 확인하였다. 움집터와 주변에서는 신라고분 7기와 고려고분 7기도 함께 확인되었다. 주거지는 장축이 대체로 구릉의 등고선방향과 일치한다. 구릉 남쪽 완경사

  • 강릉토성지 / 江陵土城址 [역사/선사시대사]

    강원도 강릉시에 있는 옛 토성지(土城址). 강릉토성지는 ‘예국토성지(濊國土城址)’라고도 불리는데,『삼국사기』에 의하면 강릉 즉 명주는 본시 예(濊)의 고국(古國)으로 철국(鐵國) 혹은 예국(蘂國)이라고도 하였는데, 고구려의 하서량 또는 하슬라라 하였다. 신라 지증왕 1

  • 강릉포남동주거지 / 江陵浦南洞住居址 [역사/선사시대사]

    강원도 강릉시 포남동에 있는 선사시대의 집터 유적. 유물은 주로 중심에서 동쪽과 서쪽에서 집중적으로 출토되었다. 종류는 갈판·반달돌칼·돌도끼·돌칼·갈돌·돌낫 등의 농경구와 가락바퀴·돌살촉·간돌칼·청동살촉·철편·숫돌·토기파편 등의 생활용구가 있다. 이 중에서 특기할 것은

  • 강만년 / 姜萬年 [역사/근대사]

    미상∼1919. 일제 강점기 의병·독립운동가. 본적은 평안북도 강계(江界)이다. 자세한 활동 이력 및 출신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백삼규(白三圭)·박장호(朴長浩)·조맹선(趙孟善) 등이 주축이 되어 조직한 대한독립단(大韓獨立團)에 가담하여 활동하였다. 친일파 숙

  • 강명규 / 姜明奎 [역사/근대사]

    1896-1983. 독립운동가. 본관은 진주. 호는 위석(渭石). 황해도 봉산 출신. 경성사립오성학교(京城私立五星學校)를 졸업하고 보성전문학교 상과에 재학중에 3·1운동에 참가하고, 대일무력항쟁을 계획하려다 비밀이 누설되어 상해(上海)로 망명하였다. 1922년 나석주

  • 강명수 / 姜明秀 [역사/근대사]

    1908-미상. 일제 강점기 사회주의운동가. 1927년 중국 길림성(吉林省) 연길현(延吉縣) 신흥동(新興洞)에서 동불청년회(東佛靑年會)를 조직하고 청년회 고문직을 맡아 활동하면서 청년들의 항일의식을 고취시키는 한편, 당면 과제에 대한 문제 해결방안 등을 역설하며 힘썼

  • 강목집요 / 綱目輯要 [역사/근대사]

    조선후기 문신 신응조가 흥선대원군 이하응의 명을 받아 편찬한 역사서. 7권 3책. 전사자본(全史字本). 전7권을 천(天)·지(地)·인(人) 세 부분으로 나누고 있으며, 천에 1∼3권, 지에 4·5권, 인에 6·7권이 들어 있다.신응조의 서문에 흥선대원군의 명에 의해

  • 강목체 / 綱目體 [역사]

    역사를 연·월·일순에 따라 강과 목으로 기록하는 편찬 체재. 줄거리 기사를 큰 글씨로 쓴 것을 ‘강(綱)’이라 하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서술 내용을 ‘목(目)’이라 한다.

  • 강목초 / 綱目抄 [역사/조선시대사]

    송나라 주희의 『자치통감강목』에서 중요한 내용을 발췌하여 저술한 역사서. 75권 8책. 필사본. 서기전 403년부터 959년까지 1362년간의 사실을 담고 있다.이 책의 저본이 되는 『자치통감강목』은 사마 광(司馬光)의 『자치통감』을 성리학적 가치관에 의하여 다시 편성

페이지 / 223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