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역사 > 선사시대사 38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역사 > 선사시대사
  • 용천신암리유적 / 龍川新巖里遺蹟 [역사/선사시대사]

    평안북도 용천군 신암리에 있는 신석기시대 만기(晩期)에서 고구려시대까지의 집터와 유물포함층 유적. 집터는 남쪽은 서벽 9m, 깊이 30㎝인 장방형 움집터로서 바닥은 진흙을 깔아 다졌다. 이 곳에서는 복원 가능한 토기 15점과 반달돌칼〔半月形石刀〕·돌살촉·돌도끼·달도끼〔

  • 원산도패총 / 元山島貝塚 [역사/선사시대사]

    충청남도 보령시 오천면의 원산도에 있는 삼국시대 전기(또는 원삼국시대)의 조개더미. 원산도는 보령군 관내 49개의 섬 중 가장 큰 섬으로, 그 주위는 29㎞에 달하며 높이 50∼100m에 이르는 구릉이 섬의 동서로 뻗어 있고, 서해안은 암석해안을 이루나 나머지 지역은

  • 원삼국시대 / 原三國時代 [역사/선사시대사]

    우리나라 고고학 편년상 초기철기시대와 삼국시대 사이의 시기. 원삼국시대(Proto-Three Kingdoms Period)는 초기철기시대 이후∼삼국시대 이전의 시대로서 서기전 100년경부터 서기 300년경까지의 약 400년간의 기간을 이른다. 이 시대는 서기전 100년

  • 월계동장고분 / 月桂洞長鼓墳 [역사/선사시대사]

    광주광역시 광산구 월계동에 있는 삼국시대의 고분군. 광주광역시 기념물 제20호. 2기. 영산강의 지류를 낀 낮은 구릉지대에 2기의 장고분이 자리잡고 있었다. 이 일대는 광주첨단과학산업단지로 조성됨에 따라 현지 보존을 위한 2차의 조사가 이루어졌다. 1993년 1차 조사

  • 위원용연동유적 / 渭原龍淵洞遺蹟 [역사/선사시대사]

    평안북도 위원군 숭정면 용연동에 있는 초기철기시대의 퇴장 유적(退藏遺蹟). 발견경위는 1927년 8월 1일 위원군수가 명도전(明刀錢) 출토 사실을 보고하여 알려지게 되었다. 보고에 의하면 여러 차례에 걸쳐 발굴되었다고 하나 정식조사는 일본인 고이즈미(小泉顯夫)에 의해

  • 위원용연동유적 / 渭原龍淵洞遺蹟 [역사/선사시대사]

    평안북도 위원군 숭정면 용연동에 있는 초기철기시대의 퇴장 유적(退藏遺蹟). 유적의 위치는 위원읍에서 압록강으로 거슬러 올라가 남쪽으로 10여 리 되는 곳으로, 압록강의 지류인 위원강의 상류 한백천(漢栢川)에 연해 있는 산간벽지에 있다. 발견경위는 1927년 8월 1일

  • 은율운성리유적 / 殷栗雲城里遺蹟 [역사/선사시대사]

    황해도 은율군 운성리에 있는 초기철기시대의 고분군 유적. 가말리마을과 고분골 사이의 동서로 가로지른 나지막한 산의 경사면에 위치한다. 이 곳에는 고분 외에 토성·우물 등이 있으며, 1955년부터 1966년에 걸쳐 5차례의 발굴조사가 있었다.

  • 은파갈현리유적 / 銀波葛峴里遺蹟 [역사/선사시대사]

    황해도 봉산군 쌍산면(현재 북한의 황해남도 은파군) 갈현리에 있는 초기철기시대의 널무덤 유적. 구덩이 안에서는 지표 하 70㎝에서 철제유물이 나타나고 100∼105㎝ 아래에서 청동유물이 출토되었다. 그 종류는 청동기로 세형동검(細形銅劍) 1점, 칼자루끝장식[劍把頭飾]

  • 을자모양동기 / 乙字모양銅器 [역사/선사시대사]

    초기 철기시대에 사용된 수레의 부속품. ‘동제을자형관금구(銅製乙字形管金具)’라고도 불린다. 을(乙)자형으로 꺾어진 속이 빈 관형금구와 일직선으로 곧은 관형금구로 구성되어 있다. 항상 2개가 1쌍으로 출토되고 있으며, 관형금구 속에는 소목봉(小木棒) 또는 흑칠(黑漆)을

  • 임자도패총 / 荏子島貝塚 [역사/선사시대사]

    전라남도 신안군 임자면의 임자도에 있는 청동기시대에서 초기 철기시대에 걸친 시기의 폐기물처리 생활유적. 임자도는 목포항 서북쪽 약 40㎞ 지점에 위치하며 대개 높이 200m 이내의 낮은 야산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곳에서 발견된 선사유적은 고인돌과 조개더미이다. 그

페이지 / 3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