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언어 709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언어
  • 역어 / 譯語 [언어/언어·문자]

    갑국의 언어문자를 을국의 언어문자로 번역하여 의사를 전달하는 수단. 역과초시(譯科初試)·복시에 한학(漢學)·몽학(蒙學)·왜학(倭學)·여진학(女眞學)은 모두『경국대전』을 번역하게 하였다.

  • 역어유해보 / 譯語類解補 [언어/언어/문자]

    1775년(영조 51)에 김홍철(金弘喆)이 『역어유해(譯語類解)』를 보궐(補闕)하여 간행한 책. 1권 1책. 목판본. 이 책의 체재는 『역어유해』에 비하여 표제어에 구(句)와 절(節)이 더 많이 보인다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국어사의 자료로서도 『역어유해』와 비교할

  • 역학 / 譯學 [언어/언어·문자]

    조선시대에 외국어의 학습·교육·연구·통역 등을 부르던 명칭. 조선시대의 역학자는 역과 출신 또는 취재와 같은 특별 등용으로 역학에 종사하게 된 부류와 한학강이관 또는 습독관이나 승문원의 한학질정관 출신이 있었는데, 역관들은 사역원의 관리, 지방 역학의 훈도 등으로 활

  • 연경좌담 / 演經坐談 [언어/언어/문자]

    1923년에 게일((James S. Gale))이 만든 노래복음서. 활판본. 게일이 서문을 마치고, 한국 기독교 문학에서 간행한 것으로, 가사만 남아 있는 찬송가집이다. ‘연경좌담(演經坐談)’이라는 서명의 의미는, ‘성경을 연기하듯이, 앉아서 이야기하듯이’ 모여서 함

  • 연구개음 / 軟口蓋音 [언어/언어/문자]

    연구개를 조음점(調音點)으로 하여 발음되는 자음. 조선시대에는 중국음운학(中國音韻學)에 따라 『훈민정음』 이후로 아음(牙音) 즉 ‘엄쏘리(어금닛소리)’라 하여 ‘ㄱ, ㄲ, ㅋ, ’을 아음으로 분류하였다. 『훈민정음』에서 “아음은 혀뿌리가 목구멍을 닫는 모양을 취한다(

  • 연서 / 連書 [언어/언어·문자]

    훈민정음에서의 글자 운용법의 하나. 초성자를 위아래로 이어쓰는 것을 말한다. 특히, 순경음(脣輕音)을 나타내기 위하여 순음자 밑에 ‘ㅇ’을 이어 쓴 것이다. 언해에서는 “니 쓰다”로 되어 있다.

  • 열거법 / 列擧法 [언어/언어/문자]

    수사법 중 강조법의 하나. 어떤 분류나 계통상 같거나 비슷한 맥락에 있는 것들을 늘어놓는 표현법이다. 열거되는 말들은 의미상 연관성을 가져야 하며, 동일한 문장 성분으로 이어지는 것이 원칙이다. “나는 산·강·바다·호수·들판 등 우리 국토의 모든 것을 사랑한다”의 예를

  • 염불보권문 / 念佛普勸文 [언어/언어/문자]

    1704년(숙종 30)에 경상북도 예천 용문사(龍門寺)에서 청허(淸虛)의 후예인 명연(明衍)이 불가의 여러 겅전의 설을 필요한 부분만 뽑은 후 염불을 권하는 글을 엮어 이를 언해해 간행한 책. 1책. 목판본. 이 책에 보이는 국어학적 특징을 해인사본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 영동방언 / 嶺東方言 [언어/언어/문자]

    강원도 영동 지역에서 사용되는 방언. 태백산맥 내부에 위치한 영월·정선·평창 지역과 태백산맥 동쪽에 위치한 삼척·강릉·양양·고성 지역에서 사용되는 방언을 아울러 이른다. 영동방언은 자음 면에서 표준어와 같이 19개의 자음으로 되어 있다. 모음 면에서는 ‘ㅣ, ㅔ, ㅐ,

  • 영서방언 / 嶺西方言 [언어/언어/문자]

    강원도 영서 지역에서 사용되는 방언. 태백산맥 서쪽에 위치한 철원·화천·양구·인제·춘천·홍천·횡성·원주 지역에서 사용되는 방언을 아울러 이른다. 영서방언은 모음 면에서는 ‘ㅣ, ㅔ, ㅐ, ㅟ, ㅚ , ㅡ, ㅓ, ㅏ, ㅜ, ㅗ’와 같이 주로 10개의 단모음으로 실현된다.

페이지 / 71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