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언어 709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언어
  • 분류사 / 分類詞 [언어/언어/문자]

    문장 안에서 결합되는 말의 의미상 또는 문법상의 특징에 관련된 분류를 나타내는 언어 형태. 국어에서 분류사는 명사(정확히는 명사 지시물)를 의미적으로 범주화하는 기능을 하며, 수량사와 함께 결합하여 명사의 수량 단위를 표시한다는 점에서 단위 명사라 불리기도 한다. 분류

  • 불규칙용언 / 不規則用言 [언어/언어/문자]

    활용할 때에 어간이나 어미가 모습을 달리하는 용언. 불규칙용언의 활용을 불규칙활용 또는 변칙활용이라 하고, 이러한 불규칙활용하는 동사·형용사를 각각 불규칙동사·불규칙형용사라 한다. 이와 같은 변화는 국어 음운변화의 일반적인 현상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러한 용언을 불규칙

  • 불설대보부모은중경언해 / 佛說大報父母恩重經諺解 [언어/언어/문자]

    『불설대보부모은중경(佛說大報父母恩重經)』를 한글로 풀이한 책. 부모의 은혜가 한없이 크고 깊음을 말하고, 은혜 갚음과 죄를 없애는 방법을 가르치고 있는 불교 경전이다. 『불설대보부모은중경』은 조선시대에 널리 유통되었으며, 조선 중기 이후에는 언해본도 여러 차례 간행된다

  • 불설사십이장경음독구결 / 佛說四十二章經音讀口訣 [언어/언어/문자]

    『불설사십이장경』의 단어와 구절 뒤에 한자로 우리말 조사와 어미 등을 단 책. 불교의 방대한 내용을 42장의 요지로 요약한 것으로, 후한 영평 10년(서기 67년) 가섭마등(迦葉摩騰)과 법란(法蘭)이 공동으로 번역한 경이다. 표제가 『불설사십이장경』으로 되어 있지만,

  • 불완전동사 / 不完全動詞 [언어/언어/문자]

    활용상의 제약을 받아 몇 개의 국한된 활용형만을 가지고 있을 뿐, 대부분의 활용형이 나타나지 않는 비생산적인 동사. 불완전동사의 특징 및 이들 어간이 활용어미와 가지는 통합관계에서의 특징을 들면 다음과 같다. ① 형용사에는 없고 동사에만 한정되어 있다. ② 시제(時制)

  • 불정심경언해 / 佛頂心經諺解 [언어/언어/문자]

    1485년(성종 16)에 『불정심다라니경(佛頂心陀羅尼經)』·『불정심료병구산법(佛頂心療病救産法)』·『불정심구난신험경(佛頂心救難神驗經)』을 언해한 책. 3권 1책. 이 책은 보통 『불정심다라니경언해(佛頂心陀羅尼經諺解)』·『관음경언해(觀音經諺解)』라고도 불린다. 인수대비(

  • 불청불탁음 / 不淸不濁音 [언어/언어/문자]

    유기(有氣)·무기(無氣), 유성(有聲)·무성(無聲) 등에 의한 조음방법으로 나눈 두자음(頭子音)의 분류 중 하나. 새로운 문자인 훈민정음(訓民正音)의 초성 체계는 중국의 음운학에 기초를 둔 것이다. 해례본『훈민정음』초성해(初聲解)에서 “정음의 첫소리는 곧 운서의 ‘자모

  • 비교법 / 比較法 [언어/언어/문자]

    수사법 중 강조법의 하나. 두 가지 이상의 사물의 크기, 성질, 모습, 내용 등의 정도를 견주어서 어느 한 사물을 선명히 표현하는 기법이다. “강낭콩꽃보다 더 푸른 물결”에서는 ‘물결’의 푸른 색채를 ‘강낭콩꽃’의 그것에 견주어서 선명하게 드러내고 있으며, “하늘이 높

  • 비유법 / 比喩法 [언어/언어/문자]

    표현하고자 하는 대상을 다른 대상에 비유하여 표현하는 수사법. 유추(類推, analogy)를 기본으로 삼아 이해하려고 하는 미지의 언어를 이미 알고 있는 언어로 이동시키거나 변화시키는 표현기법이다. 이 때 표현하고자 하는 대상이나 사상을 원관념(tenor)이라 하고,

  • 비음 / 鼻音 [언어/언어/문자]

    조음방식에 따라 분류한 언어음의 일종으로, 연구개(軟口蓋)를 낮춤으로써 공기가 코로 나가게 하면서 내는 언어음. 국어의 대표적인 비음은 ‘ㅁ, ㄴ, ㆁ’이다. ‘ㅁ’은 양순음이고 ‘ㄴ’은 치경음이며 ‘ㆁ’은 연구개음이다. 이들 비음에 인접한 모음도 비음의 영향을 받아

페이지 / 71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