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언어 > 언어 > 문자 69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언어 > 언어 > 문자
  • 상의어 / 上義語 [언어/언어/문자]

    어떤 다른 어휘보다 더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어휘. 상의어와 하의어는 상대적인 용어로서, 예를 들어 ‘동물’은 ‘말·소·양·돼지…’ 등의 상의어이고 그 역으로 ‘말·소·양’ 등등은 ‘동물’의 하의어인 한편, ‘동물’은 ‘식물’과 함께 ‘생물’의 하의어이고 ‘생물’은 ‘동

  • 상징어 / 象徵語 [언어/언어/문자]

    언어기호의 음성형식과 그 기호의 대상이 되는 사상(事象)과의 사이에 필연적인 상징관계가 있다고 생각되는 일군의 단어. 상징어는 의성어(擬聲語)와 의태어(擬態語)로 나누기도 하는데, 이것은 1차적인 유연성인가, 2차적인 유연성인가에 따라 구별된다. 곧 좁은 의미에서의 의

  • 새고교문법 [언어/언어/문자]

    김민수, 남광우, 유창돈, 허웅이 공동 집필하여 펴낸 고등학교용 문법 교과서. 1책. 대명사와 수사를 설정하지 않고 명사에 포함시켰으며 조사도 품사로 다루지 않았는데 이는 같은 해에 같이 간행된 『새중학문법』과 공통된다. 7개의 단원과 부록으로 구성되어 있다. 단원 1

  • 새중학문법 [언어/언어/문자]

    김민수·남광우·유창돈·허웅이 공동 집필하여 펴낸 중학교 문법 교과서. 1책. 5개의 단원과 부록으로 되어 있다. 단원 1은 말과 글자, 단원 2는 바른 말, 단원 3은 문장의 구조 , 단원 4는 구문 도해, 단원 5는 품사 고르기이고 부록은 틀리기 쉬운 말과 글 및 각

  • 색채어 / 色彩語 [언어/언어/문자]

    색깔이나 빛깔을 나타내는 말. 색채어는 친족용어와 함께 어휘의미론뿐만 아니라, 언어철학·문학비평·문화인류학 등등의 여러 분야에서 관심을 가지고 연구되고 있다. 특히 언어상대성이론에서는 각 언어의 색채어를 주요한 연구의 대상으로 삼는다. 언어상대성이론(言語相對性理論)이란

  • 서경언해 / 書經諺解 [언어/언어/문자]

    『서경(書經)』을 언해한 책. 5권 5책. 활자본. 선조 때나 광해군 때에 간행된 다른 경서언해들은 표기법상의 특징인 ㅿ이나 ㆁ이 한자음(漢字音)의 표기에서나마 나타나지만, 현재 전하는 『서경언해』 중에는 그러한 예를 보이는 판본은 하나도 없다. 다른 경서언해들은 내사

  • 서기체이두 / 誓記體吏讀 [언어/언어/문자]

    이두를 향찰, 이두, 구결, 고유명사 표기 등 모든 차자표기를 대표하는 말로 볼 때, 한자의 실사만을 우리말 어순으로 배열한 이두를 이르는 말. 이두 발달 단계의 초기에는 임신서기석(壬申誓記石)에서와 같이 한자의 실사만을 우리말의 어순으로 배열한 표기 방법이 있었다.

  • 서남방언 / 西南方言 [언어/언어/문자]

    전라도 지역에서 사용되는 방언. 서남방언은 대방언권의 하나로, 노령산맥을 경계로 전북 방언과 전남 방언으로 나뉜다. 대체로 전남방언 화자들은 어미 ‘-으니까’를 ‘-응깨’로 발음하며, 전북방언 화자들은 ‘-응개’로 발음한다. 서부와 남부의 많은 섬 지역들이 어촌 방언으

  • 서북방언 / 西北方言 [언어/언어/문자]

    평안도 지역에서 사용되는 방언. 서북방언은 대방언권의 하나로, 북한의 표준어 즉 ‘문화어’의 기반이 된 것으로 알려져 왔다. 하지만 전통적인 서북방언의 특징을 고려할 때 현재의 문화어가 서북방언 또는 그것의 하위 방언인 평양말에 기반을 두었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방언

  • 서술어 / 敍述語 [언어/언어/문자]

    문장성분(文章成分)의 하나. 한 문장의 주어로 제시된 인물이나 사물에 대하여 그 동작·상태·성질·유개념을 설명하는 말로서, 주어와 함께 문장의 두 주요성분을 이룬다. 주어와 서술어의 관계(주술관계)를 가진 구성을 주술구성(主述構成)이라 하는데, 전통문법(傳統文法)의 ‘

페이지 / 70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