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사회 > 사회구조 33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사회 > 사회구조
  • 산업재해 / 産業災害 [사회/사회구조]

    업무상의 사유에 따른 근로자의 부상, 질병, 장해 또는 사망을 의미. 산업재해란 개념은 근대 자본주의사회가 등장하면서 발생하였다. 중세 봉건제에서 근대 자본주의로 이행하면서 신분의 구속에서 해방된 노동자는 사용자와의 계약을 통해 근로자의 위치로 변화되었다. 이러한 관계

  • 산업화 / 産業化 [사회/사회구조]

    재화를 생산하는 제조업의 비중이 확대되는 생산양식과 생산관계의 변화 현상을 가리키는 사회학용어. 국가경제의 부가가치 생산과 취업인구에서 2차 산업(광공업)의 비중이 1차 산업(농림·어업)을 능가하는 산업구조의 변동과정을 가리키는 용어이다. 산업화가 좁은 의미로 공업화(

  • 산판일꾼 / 山坂─ [사회/사회구조]

    산판에서 벌목·반출 노동을 하는 임업 관련 노동자. 산에서 재목을 베어내는 작업은 아주 오래 전부터 있어 왔는데, 이미 조선 초기에 강원도민이 농한기를 맞아 나무를 베어내어 뗏목을 만들고, 그것을 경강(京江)에 띄워 보내어 서울에 물건을 팔았으며, 또 전업으로 삼는 자

  • 삼월총파업 / 三月總罷業 [사회/사회구조]

    1947년 3월 22일 조선노동조합전국평의회(약칭 전평)의 ‘남조선해고폭압반대투쟁위원회’가 전국적인 ‘24시간 총파업투쟁’을 벌인 사건. 1946년 9월 전평이 주도한 총파업은 임금 인상과 생활 개선 요구에서 남한 지역만의 단독정부 수립을 반대하는 정치적 파업으로 전개

  • 삼육재활센터 / 三育再活─ [사회/사회구조]

    지체장애인의 전인재활을 목적으로 설립된 사회복지법인. 952년 6월 12일 민영재(閔泳在)가 전쟁과 빈곤으로 버려진 지체장애 아동들의 복지를 위하여, 정부에서 수용보호시설 허가를 얻어 용산구 용문동에 설립하였다. 설립 당시에는 단순한 지체장애 아동의 수용보호를 목적으로

  • 상두꾼 / 喪─ [사회/사회구조]

    사람이 죽어 장례를 치를 때 상여를 메는 사람을 가리키는 민속용어. 우리 나라에서는 사람이 죽으면 시체를 매장할 장소까지 상여로 운반한다. 이때는 시신을 비롯한 관과 상여의 무게 때문에 여러 사람이 운반에 동원되게 마련이다. 『사례편람 四禮便覽』이나 『국조오례의』 상례

  • 새마을운동 / 새마을運動 [사회/사회구조]

    <근면, 자조, 협동>의 기치 아래 생활태도혁신, 환경개선, 소득증대를 통해 낙후된 농촌을 근대화시킨다는 취지로 1971년부터 전국적 범위에서 전개된 정부주도의 지역사회 개발운동. 1970년 4월 22일 대통령 박정희가 전국 지방장관회의에서 새마을가꾸기운동을 제창, 동

  • 새싹회 / 새싹회 [사회/사회구조]

    아동문화를 향상, 발전시키려는 단체. 1956년 1월 아동문학가 윤석중(尹石重)을 중심으로 창립되었다. 이 단체의 뿌리는 광복 후의 ‘노래동무회’ 또는 1933년 창립된 ‘계수나무회’이다. 계수나무회는 「봄나들이」·「달맞이」·「낮에 나온 반달」·「휘파람」 등의 동요를

  • 서얼 / 庶孼 [사회/사회구조]

    첩의 자손. 봉작(封爵)의 대상은 애초부터 정처(正妻)에 제한되어 있어 첩에게는 해당되지 않으며, 그 위에 부인이 첩의 소생인 경우에도 봉작할 수 없다는 것이다.

  • 서울시립근로자합숙소 / ─市立勤勞者合宿所 [사회/사회구조]

    1956년 12월 27일과 1961년 12월 23일의 서울특별시조례에의해 설치된 영세 근로자 합숙소. 서울시립근로자합숙소는 서울특별시립 성동근로자합숙소, 동대문근로자합숙소, 남대문근로자합숙소, 영등포근로자합숙소 등 서울시가 설치, 운영한 4곳의 근로자합숙소를 말한다.

페이지 / 3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