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문학 3,14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문학
  • 이만경본풀이 / 李萬頃─ [문학/구비문학]

    제주도 무속의 조상본풀이의 하나. 제주시 조천읍 북촌리성주이씨(星州李氏)집안에 계승되는 수호신의 내력담이다. 이 수호신은 만경령(萬頃令)벼슬을 지낸 조상이므로 이만경이라 일컫는 것이며, 벼슬을 지낸 조상의 내력담이므로 조상본풀이 중 홍부일월[紅牌日月]본풀이의 한가지가

  • 이매창묘 / 李梅窓墓 [문학/한문학]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읍 봉덕리에 있는 이매창의 묘. 이매창은 조선 중기의 기생이자 여류시인이다. 묘는 1983년 8월 24일 전라북도 기념물 제65호로 지정되었다. 현재 매년 음력 4월 5일 부안의 율객(律客)모임인 부풍율회(扶風律會)에서 매창제(梅窓祭)를 지내고 있다

  • 이목구심서 / 耳目口心書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실학자 이덕무가 여러 서적에서 초출한 것을 비롯하여 시화·기물·천지자연·인물 등을 모아 엮은 잡록. 6권 2책. 필사본. 『청장관전서(靑莊館全書)』 권48∼53에 걸쳐 2책으로 수록되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이목구심서」는 제목에 나타난 바대로 귀로 들

  • 이물교구설화 / 異物交媾說話 [문학/구비문학]

    사람이 사람 아닌 동물이나 식물과 교구한다는 내용의 설화. 이 술어는 최상수(崔常壽)가 한국 전설을 분류하면서 전설분류항으로 설정한 것인데, 이물의 성격에 따라 동물교구설화와 식물교구설화로 나눌 수 있고, 이물이 남성의 구실을 하는 경우와 여성의 구실을 하는 경우로도

  • 이방익 / 李邦翼 [문학/고전시가]

    조선후기 충장장, 오위장, 전주중군 등을 역임한 무신. 아버지는 탐라도에서 여러 대를 살아오며 무과에 급제하여 오위장을 지낸 이광빈(李光彬)이다. 1784년(정조 8)에 무과에 급제하여 수문장·선전관·충장장(忠壯將)·오위장·전주중군(全州中軍) 등의 여러 벼슬을 역임하였

  • 이벽선생몽회록 [문학/고전산문]

    1777년(정조 1)정약종(丁若鍾)이 지은 고전소설. 1책. 국문필사본. 표제는 ‘새벽젼’으로 되어 있다. 이 작품의 말미에는 “뎡유뎡아오스딩셔우등셔졍이라.”라고 기술되어 있다. ‘뎡아오스딩’은 정약종의 세례명이므로 정약종이 정유년에 기술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내용

  • 이별가 / 離別歌 [문학/구비문학]

    남녀 사이의 이별의 애달픔을 노래한 잡가. 「춘향전」이나 「배비장타령」 등에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오래전부터 민간에서 애창되어왔음을 알 수 있다. 「춘향전」에서는 이도령이 춘향과 연연히 백년가약을 맹세함에 잇따라 남원부사에서 호조판서로 승진한 아버지를 따라서 이도령이

  • 이별육가 / 李鼈六歌 [문학/고전시가]

    15세기 후반에 이별(李鼈)이 지은 연시조. 6수로 이루어진 연시조인데 개별 단위의 작품에서는 3행(한역의 5·6구)에 화자의 선언적 태도가 드러나고 있으며, 전체 작품은 개별 작품이 일관된 태도를 표명하면서 단위로서의 서정을 드러내는 연시조의 기본적이고 핵심적인 특성

  • 이봉빈전 / 李鳳彬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국문활자본. 이 작품은 여자가 남장을 하고 무예를 닦아 나라에 공을 세우고 부모의 원수를 갚는 내용이 담겨 있는 「정수정전」이나 「홍계월전」과 같은 유형의 작품으로, 이른바 여걸소설·영웅소설·군담소설·적강형소설에 해당한다. 봉빈이 동해용왕의

  • 이사원네 맏딸애기 [문학/구비문학]

    부녀자들이 주로 부르는 서사민요의 하나. ‘이생원’이 ‘이사원’으로 바뀌어 노래 제목이 ‘이사원네 맏딸애기’로 되었다. 남녀 간의 사랑을 아주 밀도 짙게 다루어 상당한 장편을 이루었다. 저주의 사설을 보면 “삽작거래 들거들랑 청삽사리 물어주고”, “방 안에야 들거들랑

페이지 / 315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