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문학 3,14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문학
  • 수양산가 / 首陽山歌 [문학/고전시가]

    십이가사의 하나. 작자와 제작연대는 미상이다. 『정선조선가곡』·『교주가곡집』에 수록되어 있다. 십이가사 중 「백구사 白鷗詞」·「죽지사 竹枝詞」 등이 정격(正格)으로 불리는 데 반해, 이 노래는 「처사가 處士歌」 등과 더불어 변격(變格)으로 불린다. 잡가와의 구별이 그리

  • 수양의사 / 隋楊義史 [문학/고전산문]

    명나라의 소설 『수양제염사(隋煬帝艶史)』의 번역본. 한글필사본. 필사자 미상. 명대 소설 『수양제염사』(8권 40회)를 번역한 책이다. “제동야인편연(齊東野人編演), 불경선생비평(不經先生批評)”이라 적혀 있지만 작자에 대해서는 알 수 없다. 『수양제염사』는 수 문제의

  • 수운가사 / 水雲歌辭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동학가사집. 1책(총 140면). 국한문 혼용 필사본. 수운(水雲)이라는 최제우(崔濟愚)의 호를 가사집 이름으로 한 것으로 보면 『수운가사』는 최제우의 동학사상을 이어 받아 전수한 가사집이라고 할 수 있다.『수운가사』에는 10편의 가사작품이 수록되어

  • 수월정가 / 水月亭歌 [문학/고전시가]

    조선 중기에 지어진 작가 미상의 가사. 수월정의 주인인 송인(宋寅)이 작가가 아닌가 추측되기도 하나 확인된 바 없다. 이수광의 『지봉유설(芝峰類說)』 권14, 문장부 7의 ‘가사(歌詞)’조에서 긴노래로 「감군은」·「한림별곡」·「어부가」가 가장 오래 되었고, 근세에는 「

  • 수월정청흥가 / 水月亭淸興歌 [문학/고전시가]

    조선 인조 때 강복중(姜復中)이 지은 시조. 21수의 연시조로, 강전섭(姜銓爕) 소장본 『수월정청흥가첩 水月亭淸興歌帖』(晉山姜氏世譜草 附錄)과 강원기(姜遠起) 소장본 『청계망사공유사가사 淸溪妄士公遺事歌詞』에 수록되어 전해오고 있다. 강복중은 때를 만나지 못하여 산림에만

  • 수월정청흥가첩 / 水月亭淸興歌帖 [문학/고전시가]

    강복중(姜復中, 1563∼1639)의 「수월정청흥가(水月亭淸興歌)」를 비롯한 28수의 시조를 수록한 가첩. 시조 28수를 기록한 부분은 크게 보아 강복중의 시조와 그에 화답한 시가로 구분된다. 강복중의 시조는 「수월정청흥가」 21수가 맨 앞에 기록되어 있으며 이어서 각

  • 수이전 / 殊異傳 [문학/구비문학]

    통일신라 후기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한문설화집. 각훈(覺訓)이 지은 『해동고승전』「아도전(阿道傳)」에는 박인량(朴寅亮)으로 밝혀져 있다. 박인량이 지었다는 「아도전」은 김부식(金富軾)의 『삼국사기』에 따르면, 신라인 김용행(金用行)의 「아도본비(我道本碑)」와 비슷하여

  • 수정사 / 水精寺 [문학/고전시가]

    고려시대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가요. 고려말 이제현(李齊賢)의 『익재난고(益齋亂藁)』 소악부(小樂府)에 한역시와 그 내력이 전해지고 있을 뿐이다. 소악부가 고려시대에 유행하던 가요들을 악부체(樂府體)의 한시로 해역(解譯)하여 모아놓은 것으로 미루어, 이 시도 당시 백성

  • 수촌만록 / 水村漫錄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의 문신 임방(任埅)의 시화집. 필사본. 『시화총림(詩話叢林)』 권4와 『양파담원(暘葩談苑)』 권5에 전문(全文)이 실려 있다. 『시화총림』에는 12행씩 16장, 『양파담원』에는 10행씩 23장의 분량이다. 『수촌만록』은 이식(李植)·정두경(鄭斗卿)·김득신(

  • 수춘잡기 [문학/구비문학]

    조선 중기에 이정형(李廷馨)이 지은 야사집. 작자는 형 정암(廷馣)과 함께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扈從), 개성에 이르러 형제가 함께 남아서 수비하다가 개성이 함락되자, 황해도지방으로 가서 의병을 일으켜 여러 번 적을 격파하는 등의 공을 세운 인물이다. 따라서 이 책

페이지 / 315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