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문학 3,14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문학
  • 서해무릉기 / 西海武陵記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국문필사본. 남자주인공이 왜적에게 빼앗긴 신부를 구해 돌아오는 이야기를 엮은 것으로, 혼사장애담(婚事障碍談)에 속하는 작품이다. 이 작품의 구성은 ‘지하국대적퇴치담(地下國大賊退治談)’과 유사한 형태를 취하고 있다. 「외지동 팔랑

  • 서행록 / 西行錄 [문학/고전시가]

    1828년(순조 28)김지수(金芝叟)가 지은 것으로 추정되는 기행가사. 분량은 2율각 1구로 헤아려 2,710구의 장편이다. 율조는 3·4조가 주조이고, 4·4조가 부주조로 분량에 비해 잘 다듬어져 있다. 작자는 여행 동기에 대해 “원유(遠遊)를 생각해서”라고 밝히고

  • 서호별곡 / 西湖別曲 [문학/고전시가]

    조선 중기에 허강(許橿)이 지은 가사. 작자의 손자인 허목(許穆)이 편찬한 『선조영언(先祖永言)』과 양사언의 자필첩책(自筆牒冊)에 수록되어 전한다. 「서호가」(家傳本)와 「서호별곡」(楊氏所傳舊本)과는 사장(詞章)에 있어서 앞뒤가 서로 바뀐 것과 첨삭(添削)이 상반되는

  • 석가여래십지수행기 / 釋迦如來十地修行記 [문학/고전산문]

    1328년(충숙왕 15)에 간행된 불전 소설집(佛傳小說集). 1권 1책. 한문 목판본, 한문 필사본. 불타의 전생담 내지 강탄(降誕)·행적담을 집성한 서사 문학이며, 소설집이다. 이 수행기는 불타의 일생 행적을 보다 완벽하고 풍성하게 작성하려고 그 전생담 가운데 저명하

  • 석고가 / 石鼓歌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조수삼(趙秀三)이 지은 한시. 칠언고시. 72구. 내용의 이해를 돕는 주를 달았다. 『추재집(秋齋集)』 권5에 수록되어 있다. 석고문을 소재로 하여 그것에 대한 감회·역사·모양 등에 대하여 읊은 시이다. 1단에서는 한유(韓愈)와 소식(蘇軾)의 석고에 대한

  • 석남사내 / 石南思內 [문학/고전시가]

    신라시대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노래. 원가(原歌)와 한역가(漢譯歌) 모두가 전하지 않는다. 제목과 노래에 대한 짧은 언급이 『삼국사기』 잡지(雜誌) 제1 악조(樂條)에 기록되어 있으며, 같은 내용이 『증보문헌비고』 권106 악지(樂志) 17에 옮겨져 있다. 『삼국사기』

  • 석문정시가단 / 石門亭詩歌壇 [문학/고전시가]

    조선 후기 채헌(蔡瀗)을 중심으로 석문정(石門亭)에서 이루어진 시가 모임. 석문정시가단은 경상북도 문경 지역의 사족 채헌(1715~1795)이 1787년(정조 11) 현재 문경시 산북면 이곡리에 석문정을 세우고 친인척, 동학과 더불어 시가를 창작하고 향유하는 활동을 펼

  • 석별가 / 惜別歌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규방가사. 2음보 1구로 헤아려 총 217구이며 4·4조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혼인식을 올린 뒤 친가에 머물다가 시댁으로 아주 살러갈 신행(新行)날을 잡아놓은 신부가 친구들에게 신행풍속을 읊은 노래이다. 여자들은 남자들과 달리 여러가지 자잘한 일들로

  • 석불가탈견 / 石不可奪堅 [문학/한문학]

    고려 중기에 김인경(金仁鏡)이 지은 한시. 칠언배율. 『동문선 東文選』에 전한다. 제목에서 말한 바와 같이, 돌의 굳음은 빼앗을 수 없다고 한 것으로 선비의 굳센 뜻을 나타냈다. 음양이 처음 갈라진 뒤에, 물건의 종류가 수만가지 생겨나 서로 뒤얽혔지만, 돌은 그 중에서

  • 석옥수록 / 石玉隨錄 [문학/한문학]

    작자·연대 미상의 기행시집. 불분권 2책. 필사본. 서문과 발문이 없어 필사연대는 알 수 없으나 필치가 정밀하다. 책1·2에 시 528수가 수록되어 있는데, 즉경(卽景)·영물(詠物)·차운(次韻)·화운(和韻)·송별(送別)·기증(寄贈)·만시(挽詩) 등의 시제(詩題)로 구

페이지 / 315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