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문학 > 구비문학 628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문학 > 구비문학
  • 허미수설화 / 許眉叟說話 [문학/구비문학]

    조선 후기의 학자 허목(許穆)에 관한 설화. 인물전설에 속한다. 미수(眉叟)는 허목의 호이다. 허목은 남인에 속하는 인물로, 서인이던 송시열(宋時烈)과의 사이에 벌어진 예론(禮論) 관련 논쟁이 유명하다. 특히 허목은 허적(許積)과 함께 남인을 영도하여 송시열을 공격하였

  • 허준설화 / 許浚說話 [문학/구비문학]

    조선 중기의 명의 허준에 관한 인물 설화. 허준에 관한 기록이 실려 있는 문헌으로는 이희령(李希齡)의 『악파만록(樂坡漫錄)』과 유재건(劉在建)의 『이향견문록(里鄕見聞錄)』을 들 수 있다. 허준이 중국에 간 이유, 범을 고쳐 주고 받은 보배, 환자와 이물(異物)과의 관

  • 현씨일월본풀이 / 玄氏日月本─ [문학/구비문학]

    제주도 무속의 조상본풀이이자 당본풀이의 하나. 제주시 화북동 안씨(安氏) 집안 수호신의 내력담으로 되어 있고, 서귀포시 성산읍 신천리에서는 그 마을 당신(堂神)의 내력담으로 되어 있다. 어느 경우이든 그 집안 또는 마을의 굿을 할 때 심방(무당)에 의하여 불린다. 가난

  • 형식담 / 形式譚 [문학/구비문학]

    일정한 형식에 따라서 내용이 전개되는 설화. 설화의 한 종류로 단일 모티프로써 이루어지는 것이 대부분이고, 또 궁극적으로 웃음을 자아낸다는 성질이 소화의 경우와 일치하기 때문에, 내용상으로 본다면 형식담은 소화 속에 포괄될 수도 있다. 형식담은 기본적인 형식(틀)에 따

  • 형제투금설화 / 兄弟投金說話 [문학/구비문학]

    형제가 길에서 주운 황금을 도로 버려 우애를 지켰다는 내용의 설화. 고려 공민왕 때 형제가 길을 가다가 황금 두 덩어리를 얻어서 나누어 가졌다. 양천강(陽川江)에 이르러 형제가 함께 배를 타고 가다가 별안간 아우가 금 덩어리를 강물에 던졌다. 형이 그 이유를 물으니 아

  • 호남가 / 湖南歌 [문학/구비문학]

    판소리 단가의 하나. 함평·광주·해남·제주 등 호남지방 50여 곳의 지명을 넣어 문장 식으로 엮은 것으로, 원래의 작자와 창작 시기는 알 수 없다. 구전(口傳)되어 오던 노래를 19세기 중엽의 인물인 신재효(申在孝)가 고쳐 지은 것이 사본으로 전해지고 있으며, 그 밖에

  • 호랑이 껍질을 쓴 당나귀 [문학/구비문학]

    어리석은 당나귀의 행위를 우화화한 설화. 동물 치우담(癡愚譚)의 하나이다. 세계문학사상 당나귀는 대체로 어리석은 동물로 희화(戱畵)되는 경우가 많은데, 우리 설화에서도 「호랑이 껍질을 쓴 당나귀」를 비롯하여, 「노래하는 당나귀」·「소금 짐을 지고 가던 당나귀」·「큰 쥐

  • 호랑이 담배 먹게 된 유래 / ─由來 [문학/구비문학]

    어머니의 병을 고치려고 호랑이로 변하였던 효자가 아내 때문에 사람 모습을 되찾지 못하고 말았다는 내용의 설화. 신이담(神異譚) 중 변신담(變身譚)에 속한다. 홀어머니를 모시고 가난하게 사는 효자가 아내를 얻자 어머니가 병이 들었다. 효자는 어머니의 병이 낫도록 치성을

  • 호랑이 목에 걸린 가시 [문학/구비문학]

    호랑이 목에 걸린 가시를 빼 주고 그 보답을 얻게 된다는 내용의 설화. 동물 보은담에 속하는 설화 유형의 하나이다. 여러 유형 중 특히 제6유형은 『삼국사기』에 있는 「김현감호(金現感虎)」와 밀접한 관련을 지닌 것이며, 제7유형은 「오뉘탑」 혹은 「희방사의 유래」 로

  • 호랑이와 곶감 [문학/구비문학]

    어리석은 호랑이가 곶감을 자기보다 무서운 존재로 착각하고 도망하는 과정을 묘사한 설화. 동물담에 속하며,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으며, 동화로도 보급되어 있다. 이 계통의 민담은 중국과 일본에도 분포되어 있는데, 발단 부분에서 지붕에서 비가 새는 것을 걱정하는 말을 듣고

페이지 / 63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