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문학 > 구비문학 628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문학 > 구비문학
  • 곰배질노래 [문학/구비문학]

    제주도 지방의 노동요. 고무래(곰배)로 논이나 밭에서 흙덩어리를 부수면서 부르는 민요이다. 논이나 밭을 쟁기로 갈아놓으면 흙덩어리가 그대로 남아 있어 싹이 잘 나지 않고 성장이 더디다. 그래서 흙덩어리를 부수어 토양을 부드럽게 하기 위하여 고무래질을 한다. 고무래질은

  • 곰을 범한 토끼 [문학/구비문학]

    교활한 토끼가 꾀로 곰을 범하고는 독수리에게 채어 위기에 처하였다가 계교로 위기를 벗어난다는 내용의 설화. 동물우화의 하나로 지략담(智略譚)에 속한다. 문헌과 구전설화가 전해지며, 문헌설화는 『기문(奇聞)』에 ‘교토탈화(狡兔脫禍)’라는 제목으로 실려 있다. 『기문』에

  • 과거설화 / 科擧說話 [문학/구비문학]

    특정한 인물의 과거 급제 또는 낙방과 관련된 설화. 과거제도가 시행된 이래로 이른바 지식인 집단이 성립하고 과거가 이들의 전유물이 된 것이 이 설화의 근본 배경이다. 하지만 과거 제도에 많은 문제가 생기고 진정한 지식인에 대한 존경심이 사라지면서 특정 집단에서 전유할

  • 과장담 / 誇張譚 [문학/구비문학]

    일상생활에서 흔히 있을 법한 일을 극도로 과장하여 이야기하는 설화. 과장담은 대체로 인간·동식물·사물 등 사물의 확대나 재주·품성 등 행위의 확대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과장담의 등장인물로 전형적인 것들을 들어 보면, 명포수·박치기꾼·재주꾼·먹보·허풍쟁이·거짓말쟁이·구두

  • 곽재우설화 / 郭再祐說話 [문학/구비문학]

    임진왜란에서 의병장으로 활약한 곽재우(郭再祐)에 관한 설화. 곽재우설화는 구전설화와 문헌설화에서 서술자의 시각에 따라서 다르게 구성되는 것을 볼 수 있다. 구전설화에서는 민중들의 절대적 지지와 응원에 힘입어서 임진왜란에 승리를 거둘 수 있었다고 전하는 반면, 문헌설화에

  • 관음설화 / 觀音說話 [문학/구비문학]

    관음보살을 주인공으로 하는 불교설화. 관음보살 설화는 대승불교의 보살신앙에 근거하여 등장한 설화이다. 관음보살의 형상은 인도 마하라슈트라주에 있는 아잔타석굴(Ajanta Caves)의 관음보살 벽화로부터 비롯되었는데, ‘연꽃을 가진 인물’(Padmapāni, 蓮華手菩薩

  • 광청아기본풀이 / ─本─ [문학/구비문학]

    제주도 무속의 조상본풀이의 하나.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동김녕리 송씨(宋氏) 집안 수호신의 내력담으로서, 이 집안에서 굿을 할 때 집안의 수호를 빌기 위해 심방에 의하여 불린다. 현재 두 편이 채록되어 있다. 이 본풀이는 원혼을 위하면 도리어 수호신이 되어 준다

  • 광포설화 / 廣浦說話 [문학/구비문학]

    함경남도 정평군 선덕면 광포의 지명 유래에 관한 설화. 이 전설의 분포 지역은 함경북도 경성군 어랑면 장연호(長淵湖), 경상북도 안동시 길안면 대곡동의 영감바위, 전라북도 군산 앞바다인 고군산 열도(古群山列島), 전라북도 부안군의 계화도(界火島) 등 주로 서해안 일대에

  • 교수잡사 / 攪睡襍史 [문학/구비문학]

    조선 후기 편자 미상의 한문설화집. 문자 그대로 ‘잠을 깨게 하는 잡된 이야기를 모아놓은 책’이라는 뜻으로서 『고금소총(古今笑叢)』에 수록되어 있다. 위모미열(謂母迷劣)·삼부헌수(三婦獻壽)·구역야질(狗亦冶質)·식병막엄(食餠莫掩)·졸문이소(拙文貽笑)·부수망발(父晬妄發)·

  • 구구가 / 九九歌 [문학/구비문학]

    구구법(九九法)에 따라서 말놀이하는 전래동요. 일종의 어희요(語戱謠)이다. 정월에 윷놀이를 즐기다가 이긴 편이 춤을 추면서 부르는 노래로, 구구법에 좇아 거침없이 외워나가는 그 자체를 즐기는 노래이다. 구구팔십 일광로는 여이동빈 찾아가고 팔구칠십 이적선은 채색강에

1 2 3 4 5 6 7 8 9 10 끝
페이지 / 63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