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교육 1,000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교육
  • 이병훈 / 李秉勳 [교육/교육]

    1913-미상.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교육자·의사(醫師). 본적은 평안남도 평원군(平原郡) 순안면(順安面)이고, 출신지는 중국 남경(南京)이다. 1932년 4월 서울 연희전문학교(延禧專門學校)를 중퇴하고, 중국 상해(上海)로 망명하여 대한민국 임시 정부 산하의 인성

  • 이산향교 / 理山鄕校 [교육/교육]

    평안북도 초산군(현재 자강도 우시군) 초산면 성서동에 있는 향교. 고려 인종 때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1663년(현종 4)에 군수 안시상(安時相)이 유림 김수하(金壽河)의 협조를 받아 중수하였다. 당시의 경내

  • 이연서원 / 伊淵書院 [교육/교육]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매암리에 있었던 서원. 1587년(선조 20)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김굉필(金宏弼)과 정여창(鄭汝昌)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60년(현종 1) ‘이연(伊淵)’이라 사액되어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왔

  • 이원향교 / 利原鄕校 [교육]

    함경남도 이원군 이원면 교동리에 있는 향교. 438년(세종 20)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향선동에서 창건되었다.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1599년(선조 32)에 유생 김사영(金士詠)·강탁(姜濯)·강윤조(姜胤祖) 등이 동재

  • 이윤재 / 李允宰 [교육/교육]

    항일기의 독립투사·국어학자·사학가(1888∼1943). 한글맞춤법 제정에 참여하였으며, 조선어사전 편찬 등 한글 보급을 통한 민족운동을 하였다. 조선어학회 《우리말 사전》 편찬위원을 맡았고, 진단학회로 국사 연구에 참여하였다. 조선어학회사건으로 옥사하였다. 저서로는

  • 이천향교 / 利川鄕校 [교육/교육]

    경기도 이천시 창전동에 있는 향교. 조선시대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안흥사(安興寺)에서 지도하던 생도를 이곳으로 옮겨 학문하게 하고, 석전례(釋奠禮)를 베풀었다고 한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6칸의 대성전, 5칸의

  • 인구서원 / 仁衢書院 [교육/교육]

    경상남도 함안군 가야읍 혈곡리(舌谷里)에 있었던 서원. 1863년(철종 14) 고려가 망하자 고려 유민을 자처하며 평생 경상도 함안군 모곡(茅谷)에서 은거한 이오(李午)를 향사하기 위해 혈곡리 인곡(仁谷)에 건립된 서원이다. 1868년(고종 5)에 대원군의 서원 철폐령

  • 인동향교 / 仁同鄕校 [교육/교육]

    경상북도 구미시 임수동에 있는 향교. 조선 중기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창건연대는 미상이며, 현재의 향교는 1864년(고종 1)에 중건된 것이다. 고종 말기에는 인동국민학교의 전신인 옥성학원(玉城學院)이 설립되

  • 인봉서원 / 麟峯書院 [교육/교육]

    전라북도 전주시 남노송동 기린봉에 있었던 서원. 1650년(효종 1)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최명룡(崔命龍)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63년(현종 4)에 김동준(金東準)을, 그 뒤 김동기(金東起)·정상룡(鄭祥龍)·이기경(李基敬)을 추가

  • 인제향교 / 麟蹄鄕校 [교육/교육]

    강원도 인제군 인제읍 상동리에 있는 향교. 610년(광해군 2)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1615년에 현감 구인기(具仁基)가 군의 서쪽으로 이건하였다가 1804년(순조 4)에 현감 신진하(申鎭夏)가 동쪽으로 다시

페이지 / 100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