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경제·산업 > 통신 46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경제·산업 > 통신
  • 위성통신지구국 / 衛星通信地球局 [경제·산업/통신]

    정지궤도에 위치한 위성을 중계로 하여 원거리에 전송하는 통신방식에서 지상에 설치한 고정국. 우리나라에서도 1960년대 후반 급증하는 국제통신의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국제통신 회선의 광대역 전송로 확보계획을 수립하고, 이 계획에 의하여 위성통신방식의 도입에 의한 광대

  • 전보 / 電報 [경제·산업/통신]

    전류, 전파를 사용해 약속된 기호를 통해 정보를 보내는 통신체계. 우리나라에 전신이 처음 설치된 때는 부산-나가사키 사이 해저선이 가설된 1883년으로 거슬러 올라가지만 이 해저전신선은 덴마크의 대북부전신회사 소유였다. 1885년 처음으로 육지에 가설된 서로전신선(인천

  • 전보장정 / 電報章程 [경제·산업/통신]

    1888년 5월에 제정된 우리 나라 최초의 전신 법규. 남로전신선(南路電信線)은 서로전신선과는 달리 우리 정부의 주관으로 가설, 운영되었던 만큼 업무상에서도 독자적인 규정이 필요하여 조선전보총국 개국에 앞서 제정되었다. 「전보장정」 제정에 모범이 된 것은 중국 화전국의

  • 전신 / 電信 [경제·산업/통신]

    서로 떨어진 곳에서 전류나 전파를 이용하여 약정된 부호 신호의 방식으로 정보를 주고받는 통신. 우리 나라에 최초로 전신이 도입된 것은 1885년 9월 28일로, 서울과 인천에 최초의 전신이 가설되고 이를 관할하기 위해 한성전보총국(漢城電報總局)이 개국되면서 전신이 시작

  • 전신국 / 電信局 [경제·산업/통신]

    1885년 전보를 접수하여 전송하고 배달해 주는 업무를 관장하기 위해 설치된 관서. 우리나라도 전신이 처음 도입된 1885년 서로전신선(西路電信線)이 개통되면서 국영으로 운영되는 관청조직인 전신국이 세워졌다. 즉, 1885년 9월 28일에 한성전보총국과 인천 분국이 개

  • 전화 / 電話 [경제·산업/통신]

    음성이나 소리를 전기신호로 바꾸어 전송로를 통해 먼 곳까지 보내고 다시 소리로 변환시켜 소통하게 하는 통신 기기. 1896년 즈음, 경운궁(현재 덕수궁)을 중심으로 중앙부서를 연결하는 전화선과 더불어 서울과 조선의 대표적 개항장 인천 사이에 전화선 가설이 완료되어 공무

  • 전화교환기 / 電話交換機 [경제·산업/통신]

    경제적으로 교환을 원하는 상호간에 정보의 교환을 신속,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고안된 전기통신기기의 가장 필수적인 장치. 우리 나라에서는 1896년 대한제국의 궁내부용 전화가 개설되면서 도입된 스웨덴의 엘엠·에릭슨사의 자석식 단식교환기가 처음으로 사용되었다. 이 교

  • 전화국 / 電話局 [경제·산업/통신]

    전화교환 중계 및 전화 영업업무를 취급하는 곳. 우리나라 전화국은 1897년 처음 세워졌다. 경운궁(현재의 덕수궁)을 중심으로, 이듬해 인천감리(仁川監理)까지 개통된 전화선을 운영, 관리하기 위한 곳이었다. 이 전화국은 궁내부의 통신사로 불렸으며, 1900년 통신원 창

  • 조선전보총국 / 朝鮮電報總局 [경제·산업/통신]

    1887년 전기통신을 전담하기 위해 설치되었던 관서. 1887년 3월 남로전신선의 가설 준비가 본격적으로 추진됨에 따라 정부에서는 고종에게 이를 전담할 관서 창설에 관한 재가를 얻어 같은 해 3월 13일에 창설하였고, 1893년 8월 17일 전우총국(電郵總局)으로 개

  • 주전봉수대 / 朱田烽燧臺 [경제·산업/통신]

    울산광역시 동구 주전동에 있는 봉수대. 울산광역시 기념물 제3호. 조선시대에 만들어진 봉수대이다. 『세종실록』 지리지에 보면, 울산군에는 봉화가 임을랑포·아이포·이길·하산·가리·천내·남목·유등포 등 여덟 곳에 있었다. 이 봉화가 있는 곳이 남목천(南木川)과 인접해 있으

1 2 3 4 5
페이지 / 5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