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고려 총 1,310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고려
(전)광주 성거사지 오층석탑 / 傳光州聖居寺址五層石塔 [예술·체육/건축]
광주광역시 남구 성거사터에 있는 고려시대 5층 석조 불탑.보물. 보물 제109호. 높이 7m. 석탑은 광주공원 안의 빛고을시민문화관 서쪽에 자리하고 있으며, 주변은 성거사터로 알려져 있다. 석탑은 거북 머리처럼 튀어나온 언덕 위에 자리하고 있는데, 단층 받침돌 위에 5
(전)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 / (傳)楊平菩提寺址大鏡大師塔 [예술·체육/건축]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에 소장된 고려시대 승려 대경대사 여엄의 사리를 봉안한 불탑.승탑. 보물. 보물 제351호. 높이 2.7m. 신라 말, 고려 초에 활동하였던 대경대사 여엄(麗嚴, 862∼930)의 사리를 모신 승탑으로 추정된다. 현재는 이화여자대학
가각고 / 架閣庫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후기부터 조선 초기까지 문서를 보존 관리하던 관청. 1280년(충렬왕 6) 이전에 설치되었으며, 1468년(세조 14)에 폐지되었다.
가계 / 家系 [사회/가족]
혈연적 유대의 범위를 결정하는 그 사회의 출계원리(出系原理)에 따라 관념적으로 인지되거나 제도화되어 내려오는 한 집안의 계통체계, 또는 혈연적 분파집단(分派集團). 가계는 선대(先代)의 입장에서는 대를 물린 결과이며, 후손(後孫)의 입장에서는 자신들의 선대를 인지할 수
가락국기 / 駕洛國記 [역사/고대사]
고려전기 문종 연간에 가락국에 대하여 저술한 역사서. 완전한 내용은 전하지 않으며, 『삼국유사』 기이편(紀異篇)에 간략하게 초록하여 전하고 있다. 『삼국유사』에 수록된 「가락국기」의 주에는 정확한 저자의 이름이 나와 있지 않으며, 다만 금관주지사(金官州知事) 문인(文人
가사 / 歌辭 [문학/고전시가]
한국 시가의 한 양식. 고려 말에 발생하고 조선 초기 사대부계층에 의해 확고한 문학 양식으로 자리잡아 조선시대를 관통하며 지속적으로 전해 내려온 문학의 한 갈래이다. 4음 4보격을 기준 율격으로 할 뿐, 행(行)에 제한을 두지 않는 연속체 율문(律文)형식을 갖고 있다.
가송잡저 / 歌頌雜著 [종교·철학/불교]
고려후기 승려 혼구가 가송을 모아 엮은 불교서.가송집. 일연(一然)의 제자인 혼구의 저서이다. 2권으로 구성되었지만 현재 전하지 않는다. 이제현(李齊賢, 1287∼1367)이 쓴 보감국사비문에 제목만 남아 있다. 조계종의 고승으로 청풍 출신이다. 충렬왕은 대선사(大禪
가시리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고려가요. 『악장가사(樂章歌詞)』에 가사 전문이, 『시용향악보(時用鄕樂譜)』에 1장에 대한 가사와 악보가 실려 있다. 또한 이형상(李衡祥)의 『악학편고(樂學便考)』에 ‘嘉時理(가시리)’라는 제목으로 가사가 실려 있기도 하다. 사랑하는 사람과의 이별을
가안지곡 / 嘉安之曲 [예술·체육/국악]
고려시대 제례의식에서 연주된 아악곡. 왕이 친히 원구단(圜丘壇)에 참석하여 제사를 지내는 동안 전폐(奠幣) 및 작헌(酌獻)의 의식을 거행할 때 등가(登歌)에 의하여 연주되었다. 인안지곡(仁安之曲)이나 숙안지곡(肅安之曲)과 같은 대려궁(大呂宮)의 악곡이다.
가전체소설 / 假傳體小說 [문학/한문학]
어떤 사물이나 동물을 의인화하여 그 일대기를 사전정체(史傳正體)의 형식에 맞추어 허구적으로 입전(立傳)한 소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