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절사 / 聖節使

검색결과 / 전체   이전화면

· 이칭별칭

성절사 / seongjeolsa
성절사 / sŏngjŏlsa
성절사 / embassy to congratulate the Ming emperor on his birthday
성단사 / 聖旦使
정조사 / 正朝使
동지사 / 冬至使
삼절겸연공사 / 三節兼年貢使
절사 / 節使
· 분야 : 정치·법제/외교
· 유형 : 제도/법령과 제도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조선시대 명나라 또는 청나라의 황제·황후의 생일을 축하하기 위해 보내던 사절 또는 그 사신. 이 정례 사행은 1645년(인조 23) 부터 서로간의 편의를 보아 날짜에 구애받지 않고 모두 정조에 보내기로 하였다. 1723년(경종 3)에 다시 강조되어 그 뒤로는 동시에 시행되었다. 매년 10월말이나 12월초에 떠나서 그해가 지나기 전에 북경에 도착해 40∼60일, 2월 중에 떠나서 3월말이나 4월초에 돌아오는 것이 통례였다. 사행구성은 정사·부사·서장관 각 1인, 대통관 3인(수역당상관 1인, 상통사 2인), 호공관(압물관) 24인 등 도합 30인이었다.

· 관련자료 (5건)

· 관련주제어 (5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