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시계 / 漏刻

검색결과 / 전체   이전화면

· 이칭별칭

누각 / 漏刻
각루 / 刻漏
경루 / 更漏
· 분야 : 과학/과학기술
· 유형 : 유물/유물(일반)
· 시대 : 고대/삼국시대
물의 증가 또는 감소로 시간을 측정하는 장치. 누각(漏刻)·각루(刻漏) 또는 경루(更漏)라고도 한다. 《삼국사기》에 의하면 신라에서는 718년(성덕왕 17) 누각전(漏刻典)을 두었고, 749년(경덕왕 8)에서야 누각박사 6인과 천문박사 1인을 두었다고 되어 있다. 그러나 백제사람에 의하여 이보다 앞서 일본에 이미 누각이 만들어진 것으로 보아 신라에서의 누각은 이 기록보다 훨씬 앞선 것이 분명하다. 고려시대는 누각에 관한 기록이 남아 있지 않다. 조선시대에 와서 누각은 국가 표준시계로 이용되기에 이르렀다. 누각은 누호·누전(漏箭)·전주(箭舟)로 구성되어 있으며, 누호에는 설수형(泄水型)과 수수형(受水型)이 있다. 설수형은 누호로부터 흘러나간 물의 양으로, 시간을 측정하는데 고대 바빌로니아에서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었다. 수수형은 누호에 흘러들어온 물의 양으로 시간을 측정하는데 이는 중국에서 많이 사용된 방법이다. 이집트에서는 위의 두 종류가 모두 쓰였다. 이들 중 수수형누호의 시각측정원리는 다음과 같다. 높은 곳에 놓여 있는 파수호에 채워진 물이 파수호 밑의 구멍을 통과하여 수수호에 흘러들어가면 그 속의 수면이 점차로 높아진다. 이에 눈금을 매긴 잣눈으로 물의 증가량을 측정하여 시간을 알아낸다. 물의 증가량을 알기 위하여 수수호의 지름은 균일한 원통으로 만들었다.

· 관련자료 (6건)

· 관련논저 (1건)

『한국과학기술사』 / 전상운 / 정음사

· 관련주제어 (5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