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비복 / 王妃服

검색결과 / 전체   이전화면
· 분야 : 생활/의생활
· 유형 : 의복/의복
· 시대 : 조선/조선 전기
왕비의 정복. 왕비는 왕의 신분에 준하기 때문에 왕비가 입는 옷은 제도적으로 정하여졌다. 삼국시대를 전후하여 국가의 제도가 정비되었고 의관제도(衣冠制度)도 정립되었으므로 왕비복도 그 당시부터 입혀진 것으로 추측된다. 삼국시대의 왕비복은 계(罽)·수(繡)·금(錦)·나(羅) 등을 사용해서 화려한 표의를 입었다. 바지[袴]·내의·반비(半臂)는 계·수·나로, 표(裱)는 계·수·금은사·공작꼬리·비취털 등으로 만들었으며, 버선[襪]도 계·수·나로 만들었다. 이와 같은 직물로 만든 삼국시대의 왕비복은 직령(直領 : 직선의 여밈깃)에 요대(腰帶)를 매어 입었다. 고려시대에는 왕의 제복인 곤면복이 제정되었으므로 왕비복에도 적의(翟衣)가 제정되었다고 본다.

· 관련자료 (5건)

· 관련논저 (3건)

『삼국사기(三國史記)』
『상방정례(尙方定例)』
『한국복식사연구』 / 柳喜卿 / 梨花女子大學校出版部

· 관련주제어 (5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