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복 / 王服

검색결과 / 전체   이전화면
· 분야 : 생활/의생활
· 유형 : 의복/의복
· 시대 : 조선/조선 전기
왕의 정복(正服). 왕복의 종류가 뚜렷이 나타나는 조선시대의 것을 보면, 조근·봉사지복(朝覲奉祀之服)이라 하여 종묘·사직 등에 참예(參詣), 제사하고 정조(正朝)·동지·조회(朝會)·수책(受冊)·납비(納妃) 등에 착용하던 면복(冕服)이 있다. 수배신조현지복(受陪臣朝見之服)이라 하여 삭망(朔望)·조강(朝降)·조강(詔降)·진표(進表)·조현(朝見) 등에 착용하던 원유관(遠遊冠)·강사포(絳紗袍), 그리고 상복(常服)이라 할 평상 시사시(視事時)에 착용하던 익선관(翼善冠)·곤룡포(袞龍袍)가 있었다. 또, 국난을 당하여서는 전립(戰笠)에 융복(戎服)을 착용하기도 하였다. 왕복은 군왕(君王)의 표신(標信)이기도 하였던 만큼 군신의 복과는 달랐다. 옛 고구려의 왕복을 보면, ≪당서 唐書≫ 동이전(東夷傳)에서는 “왕복은 오채복(五采服)이고, 그 관은 금테를 두른 백라관(白羅冠)이고, 여기에 금테로 장식한 혁대를 띠었다.”라고 하였다.

· 관련자료 (5건)

· 관련논저 (5건)

『삼국유사(三國遺事)』
『고려사(高麗史)』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한국복식사연구』 / 류희경 /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 관련주제어 (4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