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남천 / 金南天
검색결과 / 전체 이전화면
· 이칭별칭
효식 / 孝植
· 분야 : 문학/현대문학
· 유형 : 인물/문인·학자
·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1911년∼1953년. 소설가·문학비평가. 평안남도 성천(成川) 출생. 본명은 효식(孝植).
평양고등보통학교(平壤高等普通學校)를 졸업하고 일본에 유학, 동경의 호세이대학(法政大學)을 중퇴하였다. 1927년 카프(KAPF) 동경지부가 발행한 동인지 《제3전선 第三戰線》에 임화(林和)·안막(安漠)·한재덕(韓載德)·이북만(李北滿)·김두용(金斗鎔) 등과 함께 동인으로 가담하였으며, 1931년을 전후한 카프 제2차방향전환기에 임화 등과 귀국, 김기진(金基鎭)이 주장한 프로문학의 대중화론(大衆化論)에 대하여 개량주의라고 비판하고 나섬으로써 극좌적(極左的)태도을 취하였다.
1935년 카프가 경기도경찰국에 해산계(解散屆)를 낼 때까지 조직에 충실하면서 사회주의적 리얼리즘을 추구하였다.
1930년 평양고무 총파업에서 취재한 희곡 〈파업조정안 罷業調整案〉(1931)을 발표하고, 이후 〈공장신문 工場新聞〉(1931)·〈물〉(1933)·〈고민 苦憫〉(1933)·〈문예구락부 文藝俱樂部〉(1934) 등의 단편을 발표하였다.
그는 작가의 창작을 좌우하는 방법문제에 있어서 조선 프롤레타리아트의 당면한 과제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면 그 과제를 작가 자신의 체험 속에 소화시키려는 작가의 결단적인 실천이 문제된다고 하였으나, 실제 그의 작품은 계급적 인간을 그리려는 과도한 시도로 현실 속의 산 인간을 그리지 못한 것으로 지적되었다.
그는 이후 고발문학론(告發文學論)으로 기울어졌는데, 〈남매〉(1937)·〈처를 때리고〉(1937)·〈소년행 少年行〉(1938)·〈춤추는 남편〉(1937)·〈제퇴선 祭退膳〉(1937)·〈가애자 可哀者〉(1938)·〈누나의 사건〉(1938)·〈미담 美談〉(1938)·〈무자리〉(1938) 등이 이 계열의 작품에 속한다.
1937년 이후부터는 당대 상황에 대한 새로운 창작방법론으로 헤겔과 루카치의 이론을 수용한 로만개조론을 제시하여, 묘사하는 대상의 총체성과 풍속이 드러나야 한다는 이론을 폈다.
이러한 결과로 전작 장편소설 〈대하 大河〉(1939)를 발표하였다. 이 작품은 성천의 박성권 일가가 겪는 개화기의 시대상과 의식의 변화과정을 연대기적 가족사의 형식으로 그린 소설로 그의 대표적 장편이다. 이밖에 창작집 《삼일운동》(1947)·《맥 麥》(1947)과 〈생일전날〉(1938)·〈그림〉(1941)·〈길우에서〉(1941) 등의 작품이 있다.
그의 비평으로는 〈창작방법에 있어서의 전환(轉換)의 문제〉(1933)·〈인테리문제의 신과제(新課題)〉(1935)·〈고발(告發)의 정신과 작가〉(1937)·〈도덕의 문학적 파악(把握)〉(1938)·〈시대와 문학의 정신〉(1939)·〈소설의 장래와 인간성의 문제〉(1939) 등을 들 수 있다.
1947년말 월북하여 1953년 휴전 직후 남로당계(南勞黨系) 박헌영(朴憲永)세력을 제거하는 사건과 관련, 당시 문화계 주모자로 몰려 사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