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개념용어 총 1,896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개념용어
방귀쟁이설화 [문학/구비문학]
방귀를 소재로 한 설화. 소화(笑話)에 속한다. 전국적으로 널리 전승되는 이 설화는 방귀쟁이 며느리 이야기와 방귀 시합, 도둑 쫓은 방귀쟁이 등의 유형으로 나뉜다. 방귀쟁이 며느리 이야기는 매우 다양하게 전승되고 있다. 그 대상은 주로 시아버지가 되는데, 시아버지는 며
방납 / 防納 [경제·산업/경제]
조선시대 공납제의 전개 과정에서 공물의 납부를 대행함으로써 중간 이윤을 취하던 행위. 초기에는 유무상통(有無相通)의 편의를 위해 용인되었던 공물대납제가 ≪경국대전≫의 완성과 함께 금지된 뒤에 공납제의 전개과정에서 생겨난 폐단이다.
방목감 / 放牧監 [사회/촌락]
두레조직에서 가축을 방목하여 감시하는 역원(役員). 두레조직에는 공동작업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보통 6명 정도의 역원이 있었다. 그 내용을 보면 두레의 대표이며 총책임자인 영좌(領座: 지방에 따라서는 좌상·행수·영수·반수라고도 함), 대표를 보좌하는 도감(都監: 공원
방물장수 / 방물장수 [사회/사회구조]
여자에게 쓰이는 화장품과 장식품, 바느질 도구 및 패물에 이르기까지 여러 가지 물건을 팔러 다니는 행상. 주로 노파들이 이 행상에 나섰다. 이들은 팔 물건을 보퉁이에 싸서 등에 지거나 머리에 이고 여기 저기 돌아다니며 장사를 하였는데, 본업 외에 여염집 여성에게 세상
방언 / 方言 [언어/언어/문자]
독립된 체계를 가진 한 언어의 분화체 또는 그 변종. 통상적으로는 한 언어의 변종 정도의 의미로 사용된다. 한때는 방언이 표준어에 비해 열등하다는 편견을 가진 사람들에 의해 표준이 아닌 말이나 교양 없는 말로 정의되기도 하였으나, 언어 구조상으로 방언과 표준어 또는 방
방언학 / 方言學 [언어/언어/문자]
방언을 대상으로 하여 방언체계와 방언현상을 연구하는 언어학의 한 분야. 개개의 방언 또는 그 하위 방언을 하나의 독립된 언어체계로 보고 기술적인 연구 또는 세대차 등을 고려한 역사적인 연구를 행하기도 하고, 둘 이상의 방언들을 대조·비교하여 공시론적으로 또는 통시론적으
방역 / 防役 [경제·산업/경제]
조선시대 베를 징수하기 위해 정군의 입역을 방해하던 부정 행위. 조선시대 15세기 말부터 번상병의 대립현상이 일어나기 시작하였다. 대립이란 번상병이 보인(保人)에게 받아 온 조역가(助役價)로 타인을 고용해 대신 입역하게 하고 자신은 귀향하는 것이었다. 이와 같은 현상
방점 / 傍點 [언어/언어/문자]
중세 후기 국어(15∼16세기)의 정음 자료에서 음절에 따라 그 음절의 높낮이를 보이기 위하여, 그 글자의 왼쪽에 찍어 놓은 둥근 점. 정음 창제와 더불어 발명된, 매우 독특하고 창의적인 낱말의 높낮이 표기 기호의 일종이다. 『훈민정음』(해례본)에는 자세한 표기 규칙과
방조제 / 防潮堤 [경제·산업/산업]
해안에 밀려드는 조수(潮水)를 막아 간석지(干潟地)를 이용하거나 하구나 만(灣) 부근의 용수 공급을 위하여 인공으로 만든 제방. 방조제 축조는 조차(潮差)가 크고 해안의 경사가 완만한 곳이 적당하다. 우리 나라의 서해안이 최적지이며, 간석지가 발달해 있기 때문에 일찍부
방직 / 紡織 [경제·산업/산업]
식물·동물·광물질에서 실을 자아내고 그 실을 가지고 피륙을 짜는 것. 문(說文)에 방(紡)이란 실을 잣는 일[紡紡絲也]이라 했고, 직(織)이란 피륙을 짜는 모든 일[職作布帛之總名也]이라 하고 있듯이 크게 두 가지의 공정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생산기법에 따라서 전통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