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총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이재 / 李栽 [종교·철학/유학]
1657(효종 8)∼1730(영조 6). 조선 후기의 학자. 아버지는 현일, 어머니는 박늑의 딸이다. 어려서부터 작은아버지 휘일과 숭일에게 배웠다. 1700년(숙종 26) 유배에서 풀려나자 안동군 금수에서 살았다. 벼슬은 주부에 이르렀으나 사직하고 오직 학문에만 몰두하
이재 / 李梓 [종교·철학/유학]
1606(선조 39)∼1657(효종 8). 조선 후기의 문신. 해수 증손, 할아버지는 권, 아버지는 성신, 어머니는 권질의 딸이다. 1638년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승문원·예문관에 들어갔다. 1649년(효종 즉위년)에 호남지방의 암행어사를 거쳐 이듬해에 집의에 올
이재 / 李縡 [종교·철학/유학]
1680(숙종 6)∼1746(영조 22). 조선 후기의 문신. 유겸 증손, 할아버지는 숙, 아버지는 만창, 어머니는 민유중의 딸이다. 김창협의 문인이다. 1702년(숙종 28) 알성 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가주서·승문원부정자를 거쳐 예문관검열, 형조참의, 병조참의, 동
이재간 / 李在簡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33∼1789). 벼슬은 교리·헌납·부수찬·사간·응교·필선 등을 역임하여 주로 언관 계통의 관리로서 활약하였다. 정조 즉위 후 이조참의·대사성을 거쳐 이조참판이 되었으며, 양전의 실시를 주장하였다. 1789년 흉언사건에 연루되어 반역죄로 처형당하
이재관 / 李在寬 [예술·체육/회화]
조선 후기의 화가(1783∼1837). 화원으로 태조의 어진을 모사해 등산첨사가 되었다. 화조·초충·물고기·구름은 물론 초상화에 특히 뛰어났다. 영모화는 일본에서도 유명했다. 대표작〈송하처사〉·〈미인사서도〉·〈월하신선도〉·〈총석정〉등이 있다.
이재난고 / 頤齋亂藁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 이재 황윤석의 유고. 50책 6,000장. 황윤석은 다산정약용보다 1세대쯤 앞서 방대한 저술을 남겼다. 1829년(순조 29)에 후손 수찬과 당시의 전라도관찰사 조인영에 의하여 간행된 ≪이재유고≫ 12권 7책과 이 유고가 간행된 지 114년 뒤인 1
이재영언 / 頤齋詠言 [문학/고전시가]
조선시대 문신 조우인의 가사「매호별곡」·「자도사」·「출새곡」등 4편을 수록한 가사집. 1권. 필사본. 만든 연대와 사람을 정확하게 알 수는 없으나, 책 끝에 이 책의 편찬경위와 편찬연월일, 편찬자의 이름을 적어놓았다. 내용은 「매호별곡(梅湖別曲)」·「자도사(自悼詞)」·
이재협 / 李在協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31∼1790). 1757년(영조 33) 정시문과에 장원 급제하여 사간원지평·홍문관교리 등의 요직을 역임, 1760년 암행어사로 호서지방을 감찰했다. 사헌부헌납·홍문관수찬을 거쳐 대사간에 올랐다. 이어 승지를 역임하였고, 1776년 정조가 즉위하
이적의 / 李適意 [종교·철학/유학]
1652년(효종 3)∼1725년(영조 1). 조선 후기 문신·학자 증조는 이개립, 조부는 이휘음이다. 부친 이숭언의 6남 중 5남으로 태어났다. 외조부는 이상백이다. 형으로 이달의·이원의·이수의·이술의가 있고, 동생으로 이첨의가 있다. 서형으로 이철의가 있다. 부인은
이전 / 李㙉 [종교·철학/유학]
1558(명종 13)∼1648(인조 26). 조선 중기의 학자. 아버지는 수인, 동생이 준이다. 동생 준과 함께 유성룡의 문하에서 이황의 학설을 배웠다. 1603년(선조 36) 사마시에 합격, 세마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다. 인조 때에는 지례현감에 제수되었으나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