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이인혁 / 李寅爀 [종교·철학/유학]

    1634년(인조 12)∼1710년(숙종 36). 조부는 이시발, 부친은 이경휘이다. 1657년(효종 8) 사마시에 합격하여 음직으로 공조좌랑에 제수되었다. 1689년(숙종 15), 기사환국으로 인현왕후가 폐위된 뒤, 벼슬을 버리고 낙향하였다. 1694년(숙종 20)

  • 이인환 / 李寅煥 [종교·철학/유학]

    1633(인조 11)∼1699(숙종 25). 조선 후기의 문신. 대건 증손, 할아버지는 시발, 아버지는 경휘, 어머니는 심대복의 딸이다. 1665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검열·정언·수찬 등을 지냈다. 지평·부수찬을 거쳐 1675년(숙종 1) 암행어사가 되었으며,

  • 이일 / 李鎰 [종교·철학/유학]

    1538(중종 33)∼1601(선조 34). 조선 중기의 문신. 1558년(명종 13) 무과에 급제해 경성판관 등을 거쳐 1583년(선조 16) 전라좌수사·경원부사를 지냈다. 지중추부사, 비변사당상, 훈련원지사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증보제승방략』이 있다.

  • 이일영 / 李一榮 [종교·철학/유학]

    1773∼1833. 조선후기의 문신. 부친은 이집두, 어머니는 권세모의 딸이다. 1805년 명릉참봉에 임명된 이후의 관력을 서술하고, 평소 박식하고 재능이 출중하였음을 강조했다.

  • 이자 / 李耔 [종교·철학/유학]

    1480(성종 11)∼1533(중종 28).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이색의 후손, 이예견의 아들이다. 1501년(연산군 7) 진사, 1504년 식년문과에 장원급제해 사헌부감찰을 지냈다. 천추사의 서장관으로 북경에 다녀온 뒤 이조좌랑, 의성현령을 역임하였다. 1519년

  • 이자성리서 / 李子性理書 [종교·철학/유학]

    유가류(儒家類). 명석정에 소장되어 있는 책이다. 책수는 1책, 판종은 필사본(筆寫本)이다. 규격은 27.7×17.3cm이다. 표제는 이자성리서(李子性理書)이다. 조선시대 이이(李珥)가 쓴 책이다. 서문(序文)은 이도중(李度中), 발문(跋文)은 박기직(朴基稷)이 지었다

  • 이잠 / 李潛 [역사/조선시대사]

    1561(명종 16)∼1593(선조 26). 조선 중기의 무신. 보 7대손, 태빈의 아들이다. 무과급제하여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도체찰사 정철의 막료로 있었는데, 적개의병장 변사정이 그의 현명함을 듣고 청하자 부장이 되었다. 신상필벌을 강화하고 사졸과 고

  • 이장곤 / 李長坤 [종교·철학/유학]

    1474(성종 5)∼1519(중종 14). 조선 중기의 문신. 신지 증손, 할아버지는 호겸, 아버지는 승언, 어머니는 이래의 딸이다. 김굉필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495년(연산군 1) 생원시에 장원으로 합격, 1502년 알성 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홍문관교리,

  • 이장백전 / 李長白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한문 필사본. 책 표지에는 ‘丁香傳(정향전)’이라 쓰고 ‘附李長白傳(부이장백전)’이라 기록하고 있다. 안에는 「일석화(一夕話)」·「정향전(丁香傳)」·「이장백전(李長白傳)」이 합철되어 있다. 『조선학보(朝鮮學報)』 90집에 전권을 영인으로 소

  • 이장장가 / 李璋長歌 [문학/고전시가]

    1532년에 이장(李璋)이 조정의 신하들을 비방하여 지은 시가 작품. 『중종실록』 권74, ‘28년 3월’ 기사 등에 실린 「이장장가」는 다음과 같다(기사별로 표기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으며, 괄호 속은 차자표기를 성호경이 당시의 한국어로 옮긴 것임). “鄭光弼 細筆奴(

페이지 / 102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