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총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이의강 / 李義綱 [종교·철학/유학]
1742년(영조 18)∼미상. 조선 후기 문신. 부친은 이정중이다. 1781년(정조 5) 임천군수, 1787년(정조 11) 정시 문과에 갑과로 급제한 후, 1788년(정조 12) 대사간·형조참의를 지냈다. 1797년(정조 21) 외직인 밀양부사 재직 시절 영운도차사원을
이의건 / 李義健 [종교·철학/유학]
1533(중종 28)∼1621(광해군 13). 조선 중·후기의 학자. 여 5대손, 아버지는 수한, 어머니는 경주최씨이다. 1564년(명종 19) 사마시에 합격하였고, 뒤에 학행으로 돈녕부직장이 되었으나 친상으로 곧 사직하였으며, 1610년(광해군 2) 이항복의 주청으로
이의무 / 李宜茂 [종교·철학/유학]
1449(세종 31)∼1507(중종 2). 조선 중기의 문신. 양 증손, 할아버지는 명신, 아버지는 추, 어머니는 윤회의 딸이다. 1477년(성종 8) 식년 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승문원정자, 홍문관응교, 사헌부지평, 사헌부장령 등을 역임하였다. 1510년 예조참판에 추
이의배 / 李義培 [역사/조선시대사]
1576(선조 9)∼1637(인조 15). 조선 후기의 무신. 할아버지는 흥준, 아버지는 흡, 어머니는 이우직의 딸이다. 1599년(선조 32) 무과에 급제해 선전관, 명천부사, 전라좌수사, 안동부사, 공청병마절도사 등을 역임하였다.
이의승 / 李宜繩 [역사/조선시대사]
1665년(현종 6)∼1698년(숙종 24). 조선 후기의 학자. 자는 승혜(繩兮), 호는 원옹(園翁), 본관은 용인(龍仁)이다. 시로써 명성을 떨쳤다. 문집으로 『원옹집』이 있다.
이의연 / 李義淵 [종교·철학/유학]
1692(숙종 18)∼1724(영조 즉위년). 조선 후기의 학자. 할아버지는 제형이다. 일찍이 어버이를 여의었으나 학문에 정진하여 문장과 글씨에서 일가를 이루었다. 성품은 엄정하고 청렴하여 항상 몸가짐을 단정히 하였다. 1784년(정조 8) 통정대부 이조참의에 추증되었
이의윤 / 李宜潤 [종교·철학/유학]
1564년(명종 19)∼1597년(선조 30). 조부는 이언적, 부친은 이응인이다. 일찍이 한강 정구의 문인이 되어 관직에 나아가지 않고 독서와 효행을 독실히 행하다가 34세에 요절하였다. 사림에서 그를 추도하여 사원을 세웠고 저술로『무첨당선생문집』이 있다.
이의익 / 李宜翼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94∼?). 이종억 아들이다. 1857년(철종 8) 강화부유수·이조참판을 지냈으며, 동지성균관사·경연관을 지냈다. 고종이 즉위 후, 대원군의 신임을 받아 1864년(고종 1) 예조판서를 비롯하여 1865년 이조판서로 중용되었고, 이듬해에는 경기관
이의천 / 李倚天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76∼1753). 1713년(숙종 39)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헌납·지평·장령·사간을 거쳐 1726년(영조 2) 좌부승지에 이르렀다. 신임사화 때에는 조태구·유봉휘를 주살하기를 주장하는 계를 올렸다.
이의현 / 李宜顯 [종교·철학/유학]
1669(현종 10)∼1745(영조 21). 조선 후기의 문신. 후천 증손, 할아버지는 정악, 아버지는 세백, 어머니는 정창징의 딸이다. 김창협의 문인이다. 숙종 때 대제학 송상기에 의해 당대 명문장가로 천거되었다. 1694년(숙종 20)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