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고대 > 삼국시대 총 930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고대 > 삼국시대
영유 / 永柔 [지리/인문지리]
평안남도 평원 지역의 옛 지명. 본래 고구려의 땅이었으나 오랫동안 황폐한 채로 있다가 고려 때정수현(定水縣)을 설치하였다. 그 뒤에 영청(永淸)으로 바꾸어 용강현(龍岡縣)에 속하게 하였으며, 뒤에 다시 현령을 두었다. 1256년(고종 43) 현령을 폐하고 안인진(安仁鎭
영일 / 迎日 [지리/인문지리]
경상북도 포항 지역에 있었던 옛 지명. 동해 바다에 떠오르는 아침 해를 맞이하는 곳이라는 뜻이다. 이곳은 삼국시대에는 신라의 근오지현(斤烏支縣)이었는데, 757년(경덕왕 16) 임정현(臨汀縣)으로 개칭되었다가, 고려 건국 후 940년에 영일현(迎日縣)으로 칭하면서 생겨
영주 / 寧州 [지리/인문지리]
평안북도 안주 지역의 옛 지명. 본래 고구려의 식성군(息城郡)이었는데, 신라 경덕왕 때 중반군(重盤郡)으로 고쳤다. 고려 태조 때 팽원군(彭原郡)으로 고쳤으며, 931년(태조 14) 안북부(安北府)를 설치하였고, 983년(성종 2) 영주안북대도호부(寧州安北大都護府)라고
영천 / 榮川 [지리/인문지리]
경상북도 영주 지역의 옛 지명. 본래 고구려의 내사군(奈巳郡)이었는데, 신라의 파사이사금 때 신라 영토로 되어 군을 설치하였다. 757년(경덕왕 16)에 내령군(奈靈郡)으로 고쳐 삭주(朔州) 소속의 군이 되었다. 940년(태조 23) 강주(剛州)로 고쳤으며 1018년(
영춘 / 永春 [지리/인문지리]
충청북도 단양 지역의 옛 지명. 본래 고구려의 을아단현(乙阿旦縣)이었는데, 757년(경덕왕 16) 자춘(子春)으로 고쳐 내성군(奈城郡)의 영현으로 하였다. 고려 때영춘으로 고쳐서 원주(原州)에 속하게 하였다. 1399년(정종 1) 영춘과 영월이 견아상입지형(犬牙相入地形
영파 / 寧波 [지리/인문지리]
고대 한중 무역의 주요 거점으로 중국 절강성 동북부 해안에 위치한 항구도시. 고대 이래로 대외무역항인 영파는 ‘해상 실크로드의 동쪽 출발지 항’ 역할을 하였다. 청대에는 일본과 구리를 거래하기도 하였다. 아편전쟁 이후 상해로 유입된 영파 상인들은 황포강 유역을 기반으로
영평 / 永平 [지리/인문지리]
경기도 포천 지역의 옛 지명. 본래 고구려의 양골현(梁骨縣)으로, 삼국시대 초기에는 백제에 속하였으나 광개토왕 이후에 고구려의 영토가 되었다. 신라 경덕왕 때 동음(洞陰)으로 고쳐 견성군(堅城郡)의 영현(領縣)으로 하였다. 고려 현종 때 동주(東州)에 예속시켰으며, 예
영풍 / 榮豊 [지리/인문지리]
경상북도 영주 지역에 있었던 지명. 영주와 풍기가 합쳐져 생겨난 명칭이다. 고려 통일 이후 안동부의 관할 지역이 되었는데 신라시대 내령군은 강주(剛州)로, 급산군은 흥주(興州)로, 기목진은 기주현(基州縣)으로 개명되었다. 강주에는 995년(성종 14)에 도단련사(都團練
영해 / 寧海 [지리/인문지리]
경상북도 영덕 지역의 옛 지명. 본래 고구려의 우시군(于尸郡)이었는데, 757년(경덕왕 16) 유린군(有隣郡)으로 바꾸어 명주의 영현을 삼았다. 940년(태조 23) 예주(禮州)로 바뀌었고, 현종 때는 방어사를 두었다. 1259년(고종 46) 위사공신(衛社功臣) 박송비
예안 / 禮安 [지리/인문지리]
경상북도 안동 지역의 옛 지명. 본래 고구려의 매곡현(買谷縣)이었는데, 신라가 이 지역을 차지한 뒤 경덕왕 때 선곡(善谷)으로 고쳐 내령군(奈靈郡)의 영현으로 하였다. 고려 태조 때 성주 이능선(李能宣)이 귀순하였으므로 예안으로 고쳐 군으로 승격시켰다. 1018년(현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