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총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이보흠 / 李甫欽 [종교·철학/유학]
?∼1457(세조 3). 조선 전기의 문신. 아버지는 현보이다. 1429년(세종 11) 식년 문과에 병과 급제한 뒤, 집현전박사, 성균주부, 지함양군사, 직예문관 등을 역임하였다. 충청도 청안의 향사, 광주의 대치사, 순흥의 성인단, 영천의 송곡서원에 제향되었다.
이복 / 李馥 [종교·철학/유학]
1626년(인조 4) 6월 3일∼1688년(숙종 14) 4월 8일. 조선 후기 문신. 증조는 이찬귀, 조부는 이윤무이다. 부친 이상규와 모친 황하징의 딸사이에서 태어났다. 1651년(효종 2) 식년시 생원 2등 8위로 합격, 1654년(효종 5) 식년시 갑과 2위로
이봉 / 李封 [종교·철학/유학]
1441(세종 23)∼1493(성종 24). 조선 전기의 문신. 색 증손, 할아버지는 종선, 아버지는 계전, 어머니는 진호의 딸이다. 좌찬성 파의 아우이다. 1465년(세조 11) 별시문과에 장원급제하여 세조의 총애를 받았다. 이듬해 문과중시에 합격하고 1467년 우승
이봉서 / 李鳳瑞 [종교·철학/유학]
생몰년 미상. 조선 후기 유생. 이반계의 후손이다. 일찌기 도암 이재에게서 가르침을 받은 학덕을 겸비한 선비였다. 병석에 있던 아버지가 자라가 먹고 싶다고 하였으나, ‘엄동설한인지라 낚시를 드리울 곳이 없다’하며, 강가에 나와 통곡하였다. 1699년(숙종 25) 호남
이봉징 / 李鳳徵 [종교·철학/유학]
1640(인조 18)∼1705(숙종 31). 조선 후기의 문신. 주 증손, 할아버지는 창정, 아버지는 완, 어머니는 이원량의 딸이다. 1675년(숙종 1) 생원, 이 해 증광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였다. 수찬, 사인·부제학, 개성유수, 전라도관찰사, 대사헌, 형조참판을
이봉환 / 李鳳煥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70). 영의정 홍봉한의 천거를 받아 관직에 나아가 양지현감에 이르렀다. 문장으로 세상에 드날렸다. 1770년(영조 46) 경인옥에 연루되어 고문을 받던 중 옥사하였으며, 시문집으로《우념재시고》1책이 있다.
이붕수 / 李鵬壽 [종교·철학/유학]
1548년(명종 3)∼1593(선조 26). 조선 중기의 의병장. 아버지는 팽년, 어머니는 여씨이다. 임진왜란시 북평사 정문부를 만나 강문우, 종성부사 정현룡과 함께 창의기병하여 정문부를 대장으로 추대하고 그는 별장이 되었다.1593년(선조 26) 1월 단천전투에서 승
이사 / 貳師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세자시강원의 종1품 관직. 정원은 1인이다. 찬성이 겸하였다. 1392년(태조 1) 7월에 반포된 관제에는 없었으나, 태조 4년 3월의 기사에 ‘세자 이사’라는 관직이 나온다.
이사명 / 李師命 [종교·철학/유학]
1647(인조 25)∼1689(숙종 15). 조선 후기의 문신. 유록 증손, 할아버지는 구여, 아버지는 민적, 어머니는 황일호의 딸이다. 1680년(숙종 6) 춘당대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였다. 이 해 정언으로 임용되고 서인에 가담하였다. 전라도관찰사, 형조판서, 병조판
이산 / 理山 [지리/인문지리]
평안북도 초산 지역의 옛 지명. 본래 여진족이 살던 두목리(豆木里)였는데, 고려 충렬왕 때 처음으로 만호(萬戶)를 설치하였으며, 공민왕 때부터 사람들이 점차 불어나 이곳에 만호ㆍ천호 등을 곳곳에 설치하였다. 1402년(태종 2) 산양호(山羊湖)ㆍ도을한(都乙漢)ㆍ봉화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