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개념용어 1,896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개념용어
  • 목자 / 牧子 [경제·산업/산업]

    각 목장에서 우마 사육에 종사하는 사람. ≪신증동국여지승람≫ 제주목조에 의하면 고려시대에 양노 또는 노자라 했고, 그 뒤 몽고가 제주도의 목장 경영을 위해 목마사육 전문가인 목호를 파견했는데, 1367년(공민왕 16)부터 목자라 한 데서 비롯되었다. 이와 같은 목자

  • 목장 / 木匠 [정치·법제/법제·행정]

    목제품을 만드는 장인. 나무를 다루는 일로 업을 삼는 목수이다. 택사를 짓고 주거를 만드는 자이다. 목수 중에서 대목수는 궁실을 짓는 자이며, 소목수는 기용을 만드는 자이다. 세조 6년(1460)에 선공감에 100명의 목장이 소속되어 있었다. 조선시대의 목장조직은 국영

  • 목장 / 牧場 [경제·산업/산업]

    가축을 기를 목적으로 만들어진 목초지·건물·목책(木柵) 등을 설비해 놓은 토지. 전업적 축산업 가운데 가장 집약적인 방법이다. 목장의 입지 선정은 가축의 종류와 수량, 그리고 경영 목적에 따라 기후·지형·토질·수질·수목·야초·교통 등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목초지는 가축

  • 목재 / 木材 [경제·산업/산업]

    건축·가구·보드류·펄프·종이 등을 생산하는데 필요한 나무재료로서, 때로는 필요한 치수와 형태로 만들어 낸 나무재료. 목재란 학술적인 개념으로 볼 때 수목의 성장에 따라서 형성층세포가 분열증식하여 형성층의 안쪽으로 형성되는 목질 부분을 말하는데, 목질화한 여러 개의 죽은

  • 목적어 / 目的語 [언어/언어/문자]

    서술어부(敍述語部)를 구성하는 의무적 구성소(構成素)의 하나. 객어(客語) 또는 대격어(對格語)라고도 한다. 동사와 함께 서술어부를 이루는 직접성분의 체언구(體言句)를 이루며, 전통적으로 ‘주어가 행한 행위를 받는 관계에 있는 사람이나 사물을 가리키는 말’이라 정의된다

  • 몰기 / 沒技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각종 무예시험에서 전과목에 모두 우등 합격하던 일. 활쏘기 시험의 유엽전·편전·기사 종목에 모두 명중시키는 것을 일컬었다. 이를 달성한 자를 몰기자라 하여 총점의 수석 합격자와 동격으로 대우하였다. 서울의 특수군영이나 각 도의 감영에서 시행하는 특수병종의 무

  • 몽유록 / 夢遊錄 [문학/한문학]

    몽유의 형상을 빌려서 구성된 소설. 우리 문학사상 몽유 형상은 몽유록계통의 소설이 출현하기 이전에 벌써 수없이 나타나고 있다. 신라 조신(調信)의 설화(三國遺事 卷3, 洛山二大聖 觀音 正趣 調信 삼국유사 권3, 낙산이대성 관음 정취 조신)가 그 대표적 사례가 된다. 이

  • 몽학 / 蒙學 [언어/언어/문자]

    사역원에서 가르친 4가지 언어 가운데 몽골어. 13세기 전반 고려는 강력한 원의 침략을 받고 재침 우려 속에서 원나라의 사자를 응대하기 위해서 몽골어 교육을 시작하였다. 이 교육은 조선 왕조가 들어선 이후 갑오개혁 때까지 계속되었으나, 고려와 달리 조선은 몽골과 직접적

  • 묘갈 / 墓碣 [문학/한문학]

    한문문체의 하나. 묘갈은 형태가 둥글고 묘주의 품계가 5품 이하이며 그 체제가 질실한 것이다. ‘묘갈’과 ‘묘비(墓碑)’는 본래 묘소 앞에 세우는 비석으로 본래는 구분되었으나 후대에 와서 서로 통용되었다. 묘갈은 서사(敍事)를 위주로 하는 정체(正體)와 의론(議論)을

  • 묘지기 / 묘지기 [사회/촌락]

    남의 묘를 보살펴주는 관리인. 한 집이나 문중에서 그 선조의 묘사(墓祀)와 묘소 관리를 위하여 마련한 위토답(位土畓)을 소작하면서, 묘소의 관리와 묘사의 제수 준비 등에 종사하는 사람이다. 이들은 경제적인 측면에서 고용인의 처지에 있으나, 신분적 예속 관계에 있는 것은

페이지 / 190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