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고대 > 삼국시대 930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고대 > 삼국시대
  • 서화 / 瑞和 [지리/인문지리]

    강원도 인제 지역의 옛 지명. 본래 고구려의 옥기현(玉岐縣, 또는皆次丁縣)이었는데, 757년(경덕왕 16) 치도(馳道)로 고쳐 양록군(楊麓郡)의 영현(領縣)으로 하였다. 고려 때서화(瑞和, 또는 瑞禾ㆍ瑞城)로 고쳐 회양(淮陽)의 속현으로 하였고, 조선 세종 때인제현에

  • 석남사내 / 石南思內 [문학/고전시가]

    신라시대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노래. 원가(原歌)와 한역가(漢譯歌) 모두가 전하지 않는다. 제목과 노래에 대한 짧은 언급이 『삼국사기』 잡지(雜誌) 제1 악조(樂條)에 기록되어 있으며, 같은 내용이 『증보문헌비고』 권106 악지(樂志) 17에 옮겨져 있다. 『삼국사기』

  • 석두성 / 石頭城 [지리/인문지리]

    삼국시대의 성.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의 면주도경(沔州圖經)에 따르면, 면주는 삼국시대에 고구려와 백제가 서로 공취하여 창고를 석두성(石頭城)에 두었다고 한다. 면주는 지금의 충청남도 당진시 면천면 일대를 이르는 말이다. 그리고 이곳에 곡식을 쌓아 두고 수군의

  • 석성 / 石城 [지리/인문지리]

    충청남도 부여 지역의 옛 지명. 본래 백제의 진악산현(珍惡山縣)이었는데, 686년(신문왕 6) 석산(石山)이라 고치고, 757년(경덕왕 16) 부여군의 영현으로 삼았다. 940년(태조 23) 석성으로 고치고, 1018년(현종 9) 공주에 예속시켰으며, 1172년(명종

  • 석수 / 石手 [사회/사회구조]

    돌을 다루어 어떤 형상을 빚거나 물건을 만드는 기술자. 우리 나라에서는 질 좋은 돌을 어디서나 쉽게 구할 수 있고, 성곽은 물론 궁궐 축조에도 돌을 많이 썼으며, 일반 살림살이에도 돌로 만든 기구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서 석수의 기술이 일찍부터 발달하였다. 그리고 그

  • 석전 / 石戰 [생활/민속]

    많은 사람들이 두 편으로 나뉘어 서로 돌팔매질을 하여 승부를 겨루던 놀이. 음력 정월 대보름날 각 지방에서 행하던 남성의 돌던지기놀이로 ‘편쌈’이라고 하며 한자어로는 ‘석전(石戰)’ 또는 ‘편전(便戰)’이라고 쓴다. 석전 놀이는 들판에서 한 마을 혹은 한 지방이 동편과

  • 석전 / 釋奠 [종교·철학/유학]

    전통 사회에서 산천(山川)·묘사(廟社)에 올리던 제사, 또는 학교에서 선성선사(先聖先師)를 추모하기 위하여 올리던 의식. 지금도 성균관과 지방의 향교(남한에 있는 231개소)에서는 해마다 봄(음력 2월)과 가을(음력 8월)의 상정일에 석전을 봉행하고 있다. 1949년

  • 석주 / 碩州 [지리/인문지리]

    황해도 연백 지역의 옛 지명. 본래 고구려의 동음홀(冬音忽, 또는 冬三忽)이었는데, 신라 때 해고군(海皐郡)으로 하였고, 고려 태조 때 염주(鹽州)로 고쳤다. 고려 현종 때 군을 폐하여 안서도호부(安西都護府)에 속하게 하였고, 1217년(고종 4) 이 고을 사람이 거란

  • 석탈해신화 [문학/구비문학]

    신라 제3대 왕이며 석씨 왕조의 시조가 된 탈해에 관한 신화. 『삼국유사』 권1 기이(紀異) 탈해왕조와 『삼국사기』 신라본기 제1의 탈해이사금조가 주된 자료이나, 『삼국유사』 권2의 가락국기에도 탈해왕에 관한 기록이 조금 있다. 「석탈해신화」 속에는 왕위 등극의 전제가

  • 선곡 / 善谷 [지리/인문지리]

    경상북도 안동 지역의 옛 지명. 본래 고구려의 매곡현(買谷縣)이었는데, 신라 경덕왕 때선곡으로 고쳐 내령군(奈靈郡)에 귀속시켰다. 고려 태조 때성주(城主)가 귀순하였으므로 예안(禮安)으로 이름을 바꾸어 군(郡)으로 승격시켰다. 고려 현종 때길주(吉州)에 붙였으며 우왕

페이지 / 93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