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작품 총 2,178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작품
동도악부 / 東都樂府 [문학/한문학]
조선 전기에 김종직(金宗直)이 지은 악부시. 『점필재집(佔畢齋集)』 권3에 모두 8편이 실려 있다. ① 신라 유리왕 때 팔월대보름 길쌈놀이를 묘사한 「회소곡(會蘇曲)」, ② 눌지왕이 왜(倭)와 고구려에 볼모로 가 있던 두 아우를 다시 고국으로 돌아오게 한 기쁨을 노래로
동동 / 動動 [문학/고전시가]
고려시대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가요. 고려시대에 구전되어 내려오다가 조선시대에 문자로 정착된 듯하다. 가사는 한글로 『악학궤범』에, 작품해설은 『고려사』 악지(樂志) 속악조(俗樂條)에 각각 실려 있다. 내용에 남녀간의 애정을 그린 것이 많다 하여 고려시대의 속요(俗謠)
동래학춤 / 東萊鶴춤 [예술·체육/무용]
부산 동래지방에서 추어지는 학의 동작을 표현한 춤. 동래학춤에 관한 문헌은 전혀 찾을 수 없으나, 구전에 의하면 동래의 서남편(연산리)에는 광대한 무딩기땅과 그 안에 큰 대조석(大鳥石)이 있어 많은 황새가 떼를 지어 서식하였다. 따라서, 주민들은 황새의 관찰을 통하여
동명왕편 / 東明王篇 [문학/한문학]
고려 후기에 이규보(李奎報)가 지은 한문서사시. 오언 장편 282구의 장편 인물서사시로 약 4,000자에 이른다. 「동명왕편」은 그의 문집인 『동국이상국집』 제3권에 수록되어 있다. 「동명왕편」은 동명왕 탄생 이전의 계보를 밝힌 서장(序章)과 출생에서 건국에 이르는 본
동명일기 / 東溟日記 [문학/고전산문]
조선 후기에 의유당 남씨(意幽堂南氏)가 지은 수필. 이 작품은 『의유당관북유람일기(意幽堂關北遊覽日記)』 안에 「낙민루」·「북산루」·「춘일소흥」·「영명사득월루상량문」 등과 함께 수록된 것이다. 필사로 전해지던 원본을 1947년이병기(李秉岐)가 처음 활자화하여 출판함으로써
동방삭 설화 [문학/구비문학]
삼천갑자(三千甲子)를 살았다는 동방삭에 관한 설화. 구전설화로 전국적인 분포를 보이며 널리 전승된다. 중국에서의 동방삭 설화는 보통 「동방삭작육(東方朔斫肉)」과 「동방삭투도(東方朔偸桃)」 두 가지가 전한다. 우리나라의 「동방삭 설화」는 크게 연명설화 형태와 저승 차사에
동방일사전 / 東方一士傳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이익(李瀷)이 지은 전(傳). 동방일사는 5세기초 사람으로서 동방에 은거하여 살던 사람이었는데, 팽택령(彭澤令)으로 있던 도연명이 벼슬을 버리고 돌아와서 그를 찾았다. 그가 살고 있는 곳은 속세에서 멀리 떨어져 있어 푸른 솔과 흰 구름이 있는 한적한 산림이
동백목 / 冬柏木 [문학/고전시가]
고려 충숙왕 때 채홍철(蔡洪哲)이 지은 가사. 작품은 전하지 않으며, 노래의 내력만이 『고려사』 권71 악지(樂志) 속악조(俗樂條)에 전하며, 그 일부가 『증보문헌비고』 권106 악고(樂考) 17에 옮겨져 있다.
동상기 / 東廂記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희곡(戱曲). 1791년(정조 15) 2월 산천에는 새싹이 움트고 꽃봉오리가 맺힐 무렵, 정조는 한양성(漢陽城) 안의 사서(士庶) 가운데 적령기에 달한 자녀가 있어도 빈궁하여 혼인시키지 못하는 것을 가엾게 여겨 국명으로 연회(宴會)의 보
동선기 / 洞仙記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한문소설. 필사본. 이 작품은 기생을 모델로 한 소설이지만, 부실(副室)인 기생과 본부인 사이를 원만하게 구성하였으며, 특히 기생의 희생정신을 강하게 표현해 놓았다. 전반부에서는 기녀와의 애정담을 엮어서 애정소설로 볼 수도 있다. 한편, 후반부는 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