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고려 총 1,310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고려
대학박사 / 大學博士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국자감에 설치된 관직. 국자감에는 5품 이상 관직자의 자제가 입학하도록 되어 있는 대학(大學)을 두었는데, 대학박사는 여기서 교수직을 맡았다. 정원은 2인이었고 품계는 종7품이었다. 국가로부터 전(田) 60결과 시(柴) 33결을 지급받았다.
대학사 / 大學士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보문각·예문관·문덕전·연영전에 소속된 관직. 보문각에는 1인을 두었다. 그 뒤 충숙왕 원년에 심왕(瀋王)의 건의로 대제학(종2품)을 두었는데, 이 관직이 공민왕 5년에 대학사로 바뀐 것이다. 그러나 1362년(공민왕 11)에 다시 대제학으로 바뀌는 등 명칭에
대혜보각선사서 / 大慧普覺禪師書 [종교·철학/불교]
송나라 승려 대혜종고가 지인들과 주고받은 편지를 모아 엮은 불교서. 보물 제1662호. 『대혜어록(大慧語錄)』 30권 중에서 25∼30권에 해당되며, 간략히 『서장(書狀)』이라고 한다. 총 62편의 서신 중에서 59편은 관료 또는 지식인들과 주고받은 것이다. 송나라
대혜서장 / 大慧書狀 [종교·철학/불교]
송나라 승려 대혜종고가 지인들과 주고받은 편지를 모아 엮은 불교서. 서간집. 우리 나라 불교전문강원에서 사용되는 교과서로, 사집과(四集科) 과정에서 학습되고 있다. 간화선법(看話禪法)에 바탕을 두고 대혜종고에게 법을 물어 온 42인에게 삿된 견해를 깨뜨리고 정법(正法
대혜원명동종 / 大惠院銘銅鍾 [예술·체육/공예]
대혜원(大惠院) 명문이 있는 고려시대 동종. 보물 제1781호. 지금의 경기도 안성 지역인 죽주(竹州)에 소재했던 대혜원의 동종으로, 고려시대에 제작되었다. 동종은 불룩한 몸체가 아래로 갈수록 살짝 오므라드는 형태이며, 한 마리의 용으로 만들어진 종뉴와 긴 음통을 갖추
덕수 / 德水 [지리/인문지리]
경기도 개풍 지역의 옛 지명. 본래는 고구려의 덕물현(德勿縣, 일명 仁物)이었는데, 신라 경덕왕 때 덕수로 명칭이 바뀌었다. 고려 현종 때 개성현에 예속시켜서 상서도성의 관할로 만들었다. 1056년(문종 10) 흥왕사(興王寺)를 덕수현 내의 덕물산(德物山) 남쪽에 지으
덕은 / 德恩 [지리/인문지리]
충청남도 논산 지역의 옛 지명. 본래 백제의 덕근지(德近支)였는데, 뒤에 득안(得安)으로 고치고 당나라가 백제를 멸한 뒤에 덕안도독부(德安都督府)를 두었다. 663년(문무왕 3) 김흠순(金欽純) 등이 덕안성을 공격하여 이를 점령하였다. 757년(경덕왕 16) 덕은군(德
덕주 / 德州 [지리/인문지리]
평안남도 덕천 지역의 옛 지명. 고려 초에 요원군(遼原郡)이라 하였다가 뒤에 장덕진(長德鎭)으로 바꾸었고, 1001년(목종 4) 덕주로 개칭하여 방어사(防禦使)를 두었다. 이곳은 고려의 국경지대이어서 1000년 덕주성을 쌓고 현종ㆍ문종 때 계속 성을 수리하여 나갔다.
덕천고 / 德泉庫 [경제·산업/경제]
고려 후기 왕실의 재정을 주관하던 기관. 덕천고가 왕실의 재정기관이었음은 노국대장공주(魯國大長公主)의 사망으로 인희전(仁熙殿)에 천수도량을 설치했을 때, 그 비용을 전담한 사실에서도 알 수 있다. 그 밖에 보관 중인 미포를 풀어서 물가를 조절하였고, 빈민을 구제하였다
덕흥창 / 德興倉 [경제·산업/경제]
고려시대 충주에 설치되었던 조창. 덕흥창에서는 충청북도와 경상북도 일원의 세곡을 수납, 한강의 수운을 이용하여 예성강 입구의 경창(京倉)으로 운송하였는데, 경원창이 설치되어 경상도의 공부(貢賦)를 맡게 되면서부터는 충청북도 일원의 세곡만을 거두어 경창으로 운송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