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6,84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 정계서원 / 程溪書院 [교육/교육]

    황해도(현재의 황해남도) 신천군 문화면에 있었던 서원. 1669년(현종 10)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유관(柳寬)의 학문과 그의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창건하였다. 1708년(숙종 34)에 ‘정계(程溪)’라 사액되었으며,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오던 중 대원

  • 정계순 / 鄭啓淳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29∼1789). 1765년 진사시에 합격하여 헌릉참봉·중부직장·의금부도사·선공봉사 등을 역임했다. 1777년 증광시 갑과에 급제하여 풍천부사·공조참의·승정원승지·사간원 등을 거쳤다. 1785년에는 대사간이 되었다.

  • 정관재집 / 靜觀齋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이단상의 시문집. 본집 16권 6책, 별집 6권 2책. 목판본. 1682년(숙종 8) 이단상의 아들 이희조에 의해 편집되어 윤지선의 주선으로 간행되었다. 본집은 권1∼3에 시 240여수, 권4∼6에 교서 2편, 소 27편, 권7에 계 13편, 권

  • 정광경 / 鄭廣敬 [종교·철학/유학]

    1586(선조 19)∼1644(인조 22). 조선 후기의 문신. 복겸 증손, 할아버지는 유길, 아버지는 창연, 어머니는 한세건의 딸이다. 판서 광성의 아우이다. 1612년(광해군 4) 사마시에 합격하여 생원이 되고, 그해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 상의원정, 사인, 응교

  • 정광묵 / 鄭光黙 [종교·철학/유학]

    1777~1825(정조1~순조25). 아버지는 형국, 어머니는 순천김씨, 부인은 풍양조씨이다. 난 지 여덟 달만에 부친을 여의고 어머니의 엄격한 훈육을 받으며 자랐다. 1814년 문과에 급제하여, 학유에 보임되어 가주서기주가 되었고, 이어 전적에 배명되어 봉상시주부가

  • 정광성 / 鄭廣成 [종교·철학/유학]

    1576(선조 9)∼1654(효종 5). 조선 중·후기의 문신. 복겸 증손, 할아버지는 유길, 아버지는 창연, 어머니는 한세건의 딸이다. 참판 광경의 형이고, 영의정 태화의 아버지이다. 1603년(선조 36)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 수찬, 교리, 지평, 지돈녕부사

  • 정교 / 鄭僑 [종교·철학/유학]

    1764∼1834(영조40∼순조34). 고조는 정요, 증조는 정지종, 조는 정태건이다.정교의 아버지 정형상은 원래 정연의 현손 정태복의 아들로서, 정요봉의 아들 정태건의 후사를 이었으며, 정요봉의 아들 정지집이 그의 본생고조부가 된다. 어머니는 풍양조씨,1764년 상주

  • 정구 / 鄭逑 [종교·철학/유학]

    1543(중종 38)∼1620(광해군 12).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윤증의 종손, 할아버지는 응상, 아버지는 사중, 어머니는 이환의 딸이다. 1563년에 이황, 1566년에 조식을 찾아 뵙고 스승으로 삼았다. 1563년 향시에 합격했으나 이후 과거를 포기하고 학문

  • 정규양 / 鄭葵陽 [종교·철학/유학]

    1667(현종 8)∼1732(영조 8). 조선 후기의 학자. 아버지는 석주, 어머니는 김방렬의 딸이다. 종조부 시연과 이현일의 문하에서 형 만양과 함께 수학하였다. 경사는 물론 성리학·예학·천문·지리·역학·정치·경제·율려·과제 등에 두루 정통하였다. 형제간의 우애를 기

  • 정극후 / 鄭克後 [종교·철학/유학]

    1577(선조 10)∼1658(효종 9). 조선 후기의 문신. 습명의 후손, 아버지는 삼외이다. 일찍이 장현광으로부터 학문을 배웠는데, 장현광은 그의 비범함에 감탄, 붕우의 예로 대하였다. 또, 그는 정구의 문인이기도 하다. 저서로는 <문묘사향지>, <역년통고>, <서

페이지 / 685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