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현대 총 5,00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현대
고어사전 / 古語辭典 [언어/언어/문자]
남광우(南廣祐)가 엮은 고어사전. 본격적인 사전형태를 갖춘 고어사전으로서는 처음이라 할 수 있다. 광복 전에는 고어사전류가 출판된 일이 없었고, 광복 뒤 방종현(方鍾鉉)의 ≪고어재료사전≫ 등이 나온 일이 있으나, 유인본(油印本)일 뿐만 아니라 사전의 형태를 갖추지 못한
고어재료사전 / 古語材料辭典 [언어/언어/문자]
방종현(方鍾鉉)이 편찬한 고어사전. 전·후집 2책. B5판. 유인본(油印本). 전집(134면)은 1946년 11월, 후집(194면)은 1947년 5월에 서울 동성사(東省社)에서 발행되었다. 1953년경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문학회에서 전·후집을 합본하여 다시 유인본으로
고욤나무 / Diospyros lotus L [과학/식물]
감나무과에 속하는 낙엽활엽 교목. 조(棗)자가 쓰이는 것은 열매의 모양이 대추를 닮았기 때문이라고 한다. 남부지방에서는 영조(梬棗)라고도 하는데, 북부지방에서는 다래나무를 가리키는 말이다. 높이는 14∼15m에 달하고, 새로 난 가지에는 흰색 털이 있다. 잎은 호생하고
고용허가제 / 雇傭許可制 [사회/사회구조]
2004년 8월 시행된 사업자가 외국인 인력을 고용하는 것을 허가하고 관리하는 제도. 2003년 8월「외국인근로자의 고용 등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어 2004년 8월부터 시행된 고용허가제는 심각한 인력부족을 겪고 있는 제조업이나 3D업종 부문의 사업체들에 대해 해외의
고운산 / 古雲山 [지리/자연지리]
평안북도 운산 지역의 옛 지명. 운산읍내에서 서남쪽으로 150리에 있으며, 서남쪽으로는 바다에 접하고 동쪽으로는 가산(嘉山)과 경계를 이룬다. 운산군은 본래 발해·거란·여진의 땅이었으나, 947년(정종 2) 고려의 영토가 되었으며 운중군(雲中郡)이라 하였다. 광종 때는
고원 / 高原 [지리/자연지리]
해발고도가 상당히 높고 주변지역과는 급경사면으로 구분되나 표면의 기복은 작고 넓은 땅. 고원은 주변 지형과 관련시켜 형태적으로 보아 산맥 사이에 끼어 있는 산간고원(山間高原), 주위의 한쪽은 산지이나 다른 한쪽은 평야 혹은 바다에 면하고 있는 산록고원(山麓高原), 바다
고원의곡 / 故園의曲 [문학/현대문학]
김상옥(金相沃)의 시집. 시인이 쓴 머리말 ‘이끼 푸른 옛 비석(碑石)’과 서문, 그리고 동창생인 김청석(金靑石)이 쓴 발문과 더불어 총 26편의 시가 Ⅰ, Ⅱ부로 나뉘어 수록되어 있다. 동심을 주제로 한 작품은「봄 ① - 햇빛과 아기」,「강(江) 건너 마을」,「잠자리
고유명사 / 固有名詞 [언어/언어/문자]
특정한 대상이나 유일한 대상을 가리키는 명사의 일종. 같은 명칭을 가진 집합에 속하는 어떠한 대상이라도 보편적으로 가리킬 수 있는 보통명사(普通名詞)와 대립된다. 대표적인 고유명사는 사람이름이며, 이밖에 땅이름·산이름·강이름·나라이름·바다이름·사건이름·상점이름·회사이름
고이도 / 古耳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신안군 압해읍 고이리에 있는 섬. 2009년 기준으로 인구는 295명(남 162명, 여133명)이고, 세대수는 145세대이다. 취락은 사동·고장·대촌·칠동 마을에 집중 분포하며, 선착장이 있는 진번 마을이 섬의 중심지이다. 주산업은 농업으로 전체 가구의 80%
고재집 / 顧齋集 [종교·철학/유학]
개항기부터 해방 이후까지 생존한 학자 이병은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63년에 간행한 시문집. 12권 6책. 신연활자본. 국립중앙도서관과 전북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에 시 226수, 명 3편, 상량문 20편, 혼서(婚書) 1편, 자사(字辭) 7편, 권2에 제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