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현대 총 5,00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현대
조선어문정체 / 朝鮮語文正體 [언어/언어/문자]
권영달(權寧達)의 이론적 문법서. 1941년 경성 덕흥서림(德興書林)에서 발행하였다. 음운·형태·품사·부록의 4부로 구성되었다. 내용은 우선 모음을 양음(量音), 자음을 질음(質音)이라 하고, 음운변화를 착출(搾出)·설편(舌便)·순편(脣便) 등의 원리로 특이하게 국어의
조선어소사전 / 朝鮮語小辭典 [언어/언어/문자]
1956년에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 과학원 조선어 및 조선문학연구소에서 펴낸 북한 최초의 뜻풀이 사전. 『조선어소사전』의 총 수록 어휘는 4만 1927단어이며 이 중 파생어가 8120단어라고 사전 말미에 밝히고 있다. 조선어 철자법(1954)과 조선어 외래어 표기법(1
조선어신철자법 / 朝鮮語新綴字法 [언어/언어/문자]
1948년에 조선어문연구회에서 제정한 북한 최초의 맞춤법. 『조선어 신철자법』은 북한 최초의 철자법으로, 총론 5항과 각론 64항, 본문 54쪽으로 이루어져 있다. 북한은 광복 이후 그동안 조선어학회의 『한글맞춤법통일안(개정안)』(1946)을 해설한 길용진의 『한글맞춤
조선어연구 [언어/언어/문자]
1949년 3월에 북한 조선어문연구회에서 창간한 월간 학술 종합 잡지. 『조선어 연구』는 북한의 조선어문연구회에서 1949년 3월 1일부터 발간한 월간 학술 종합 잡지이다. 1949년에 8번, 1950년에 3번 해서 총 11번에 걸쳐서 발간된 이 잡지는 북한 해방 공간
조선어음만국음성기호표기법 / 朝鮮語音萬國音聲記號表記法 [언어/언어/문자]
1935년 정인섭이 고안한 조선어음의 국제음성기호 표기법. 국제음성기호는 1886년에 창설된 국제음성학협회가 1888년에 발표한 것으로, 세계의 모든 언어를 정밀하게 표기하기 위한 목적으로 고안된 것이다. 국제음성기호는 국제음성문자, 국제음성자모, 국제음성학기호, 국제
조선어음운론연구 / 朝鮮語音韻論硏究 [언어/언어/문자]
이숭녕(李崇寧)이 지은 음운론에 관한 연구서. 1949년 을유문화사에서 간행하였다. 부제로 “제1집 ‘·’음고”가 있는 바와 같이 ‘·’음의 음가와 소실 시기 를 밝히고 ‘·’자가 모음문자로서 국어표기법(또는 정서법)에서 폐기된 경위를 밝힌 것이다. 이 책은 본래 19
조선어철자법 [언어/언어/문자]
1954년에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 과학원 조선어 및 조선문학 연구소에서 정한 조선어 맞춤법 규정. 『조선어 철자법』은 1954년에 정한 북한의 맞춤법을 담은 책으로, 본문 60쪽과 부록인 용례 146쪽으로 이루어져 있다. 『조선어 신철자법』(1948)이 조선어문연구회
조선어학논고 / 朝鮮語學論攷 [언어/언어/문자]
이희승(李熙昇, 1896∼1989)이 지은 한국어학 개론서. 1947년 11월 15일 을유문화사(乙酉文化社) 간행, 임시정가(臨時定價) 270원. 겉표지 다음 내지에 ‘제1집’이라는 호수가 명시되어 있다.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옥고를 치른 이희승은 해방이 되어 감옥에서
조선옛말사전 [언어/언어/문자]
이상춘(李常春)이 펴낸 고어휘(古語彙) 인례(引例) 사전. 1949년 을유문화사(乙酉文化社)에서 간행하였다. 간단한 머리말(小序) 및 범례, 찾기에 이어 사전의 본문(296면)과 부록(漢字語와 吏讀語, 30면)으로 짜여져 있다. 이 사전의 각 조항을 이루고 있는 미시구
조선인민공화국 / 朝鮮人民共和國 [정치·법제]
1945년 9월 6일 건준조직이 중심이 되어 수립한 해방 후 최초의 공화국. 서울 경기여고에 모여 전국인민대표자 대회를 열고 선포한 것이다. 27개조 시정방침을 발표했다. 그러나 미군정은 인민공화국을 인정하지 않았으며, 조선총독부를 그대로 이어받아 미군정만이 38도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