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종교·철학 총 4,27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종교·철학
황재 / 黃梓 [종교·철학/유학]
1689(숙종 15)∼? 조선 후기의 문신. 황신구 증손, 할아버지는 황흠, 아버지는 황서하, 어머니는 박태연의 딸이다. 1718년(숙종 44)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강원도관찰사, 부제학, 이조참의, 대사헌 등을 역임하였다.저서로는 두 차례에 걸쳐 청나라에 다
황재영 / 黃在英 [종교·철학/유학]
1835년(헌종 1)∼1883년(고종 20). 이인하의 아들이다. 1883년(고종 20)에 선공감감역에 임명되었으나 이를 사퇴하였다. 영남의 학자 가운데 실천적 학자로는 황재영만한 이가 드물었다고 한다. 저서로는《대계유고》 7권이 있다.
황재현 / 黃載顯 [종교·철학/유학]
1848년(헌종 14)∼1903년. 조선 말기의 무인. 1878년 무과에 급제, 선전관에 임명되어 관계에 진출하였다. 1881년 김홍집이《조선책략》을 들여온 것이 발단이 되어 전국이 척사상소로 비등할 때, 영남유생 이만손의 만인소에 이어 충청도 대표로 홍시중과 함께
황준량 / 黃俊良 [종교·철학/유학]
1517(중종 12)∼1563(명종 18). 조선 중기의 문신. 황영손의 증손, 할아버지는 황효동, 아버지는 황치, 어머니는 황한필의 딸이다. 이황의 문인이다. 1540년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그 뒤 권지성균관학유로 임명되고, 이어 성주훈도로 차출되었다. 신녕
황최 / 黃最 [종교·철학/유학]
1680년(숙종 6)∼1750. 황우성의 아들이다. 1725년(영조 1) 진사시에 합격했으나 대과는 실패하였다. 만년에 후진 양성에 전심하였는데 그 문하에서 과거에 급제한 사람이 많았다. 저서로는 《독성재집》이 있다.
황최언 / 黃最彦 [종교·철학/유학]
1711년(숙종 37)∼미상. 조선 후기 문신. 황근중 5대손, 증조는 황석, 조부는 황응두이다. 부친 황수태와 모친 이만전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처부는 우정구이다. 1735년(영조 11) 증광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으나 등용이 늦었다. 1769년(영조 45) 필
황택후 / 黃宅厚 [종교·철학/유학]
1687(숙종 13)∼1737(영조 13). 조선 후기의 문신. 아버지는 황상구이다. 최창대·이하곤·구택규 등의 문인이다. 금위영의 서리로 일하면서도 학문을 게을리하지 않았다. 1728년(영조 4) 이인좌의 난 때 반란군을 토벌하는 도순무사 오명항의 막하에서 서기로 일
황파집 / 黃坡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 김종걸의 시문집. 2권 1책. 목판본. 1808년(순조 8)을 전후하여 방손 재전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도화의 서문, 권말에 재전의 발문이 있다. 권1은 시·만사 60수, 서 11편, 발 1편, 잠 2편, 명 1편, 상량문 1편, 축문 3편
황헌 / 黃瓛 [종교·철학/유학]
생몰년 미상. 조선후기의 문신. 황처신의 아들, 황선의 동생이다. 형으로부터 학문을 배워 1747년(영조 23) 진사가 되고 1750년 제릉참봉으로 관직생활을 시작, 여러 관직을 거쳐 형조정랑을 역임하였다. 성품이 돈후하고 시문에 능하였으며, 후일 대제학·판돈령부사를
황혁 / 黃赫 [종교·철학/유학]
1551(명종 6)∼1612(광해군 4). 조선 중기의 문신. 황기준 증손, 할아버지는 황열, 아버지는 황정욱, 어머니는 조전의 딸이다. 기대승의 문인이다. 1580년 별시문과에 장원으로 급제, 집의·사간을 역임한 뒤 우승지가 되어 1591년 정철이 건저문제로 위리안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