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현대 5,00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현대
  • 장자못설화 / ─說話 [문학/구비문학]

    인색한 부자가 중에게 쇠똥을 주었다가 벌을 받았다는 내용의 설화. 증거물을 동반한 지명설화로, 흔히 장자의 악행을 부끄럽게 생각하여 몰래 시주한 며느리가 중이 제시한 금기를 어겨 바위가 되었다는 이야기가 함께 붙어 있다. 이 설화는 전국적인 분포를 보이며 가장 널리 알

  • 장자풀이 / 長者─ [문학/구비문학]

    호남 지역의 씻김굿에서 불리는 서사무가(敍事巫歌). 「장자풀이」는 씻김굿의 기원을 말해주는 서사무가로, 억울하게 죽은 넋을 달래는 사령제의 기원과 내력을 밝혀주는 무가라 할 수 있다. 「장자풀이」의 기본 골격에는 여러 가지 이야기가 복합되어 있다. 인심이 사나운 사마장

  • 장진강 / 長津江 [지리/자연지리]

    함경남도 장진군의 낭림산맥에서 발원하여 북서부를 북쪽으로 흘러 압록강으로 흘러드는 강. 장진강의 길이는 261㎞이고, 유역 면적은 6,976㎢이다. 낭림산맥의 마대산(馬垈山, 1,745m)·마대령(馬垈嶺, 1,705m)·황초령(黃草嶺, 1,200m)에서 발원하여 낭림산

  • 장진고원 / 長津高原 [지리/자연지리]

    함경남도 장진군 북서부 장진강 상류 유역에 있는 고원. 낭림산맥(狼林山脈)의 동쪽, 연화산맥(蓮花山脈)의 서쪽, 부전령산맥(赴戰嶺山脈)의 북쪽에 자리한 고원이다. 이 사이를 장진강(長津江)이 부전령산맥의 황초령(黃草嶺)을 수원으로 하여 북쪽으로 흐르다가 압록강(鴨綠江)

  • 장진군 / 長津郡 [지리/인문지리]

    함경남도 서북부에 위치한 군. 동쪽은 풍산군·신흥군, 동북쪽은 삼수군, 남쪽은 함주군, 평안남도 영원군, 북쪽은 평안북도 후창군, 서쪽은 평안북도 강계군과 접하고 있다. 동경 126°56′∼127°48′, 북위 40°10′∼41°15′에 위치하며, 면적 5,112.67

  • 장진정장어알쓸이터 / 長津─ [지리/인문지리]

    함경남도 장진군 늪수리에 있는 자치의 산란장. 북한 천연기념물 제264호. 정장어는 자치의 북한명이다. 연어과에 해당하는 이 물고기는 한국 특산종으로 몸 모양은 송어와 비슷하지만 몸 등쪽은 황갈색이며 머리와 등쪽은 흑점이 산재되어 있으며 배쪽은 회백색 혹은 백색이다.

  • 장진호 / 長津湖 [지리/자연지리]

    함경남도 장진군 장진면·중남면·서한면에 걸쳐 있는 호수. 황초령(黃草嶺, 1200m)·마대산(馬垈山, 1,745m) 등지에서 발원하는 장진강을 하류 40㎞ 지점의 갈전리 협곡부에 중력식 콘크리트댐을 구축하여 조성하였다. 1934년에 완공되었으며, 만수면적 64㎢, 저수

  • 장추화 / 張秋華 [예술·체육/무용]

    해방 이후 대한예술무용협회, 청년무용집단, 현대무용가집단 등에서 활동한 무용가.현대무용가. 1936년 일본 도쿄에 있는 ‘최승희무용연구소’를 찾아가서 춤에 입문하였다. 해주 여고를 졸업하고 부모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고향을 떠나서 최승희 문하가 되었다. 장추화는 최승희

  • 장추화무용 / 張秋華舞踊 [예술·체육/무용]

    한국의 현대무용을 미국에 소개하기 위해 만든 다큐멘터리 영화. 장추화(본명 장선애, 1918년~?)의 작품은 한국적 특징보다는 현대적 성향과 남방계 스타일이 주류를 이루었으며, 무채색의 서늘한 이지적 스타일로 구성되었다. 발표회 작품도 한국적 스타일의 작품은 최승희류의

  • 장충단공원 / 奬忠壇公園 [지리/인문지리]

    서울특별시 중구 장충동에 있는 공원. 남산 동쪽 봉우리 종남산(終南山) 기슭 아래의 동북쪽 일대는 예로부터 맑은 물이 흐르는 계곡으로 경치가 좋은 곳으로 유명하였다. 이 계곡에는 약 200여년 전인 영조 중엽 이래, 도성 남쪽을 수비하던 남소영(南小營)이 있었으며, 지

페이지 / 501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