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현대 5,00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현대
  • 장암굴 / 壯巖窟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평창군 평창읍 주진리에 있는 석회동굴. 길이 200m에 달하는 수평동굴이다. 오래 전부터 주민들에 의하여 피난처ㆍ용수원(用水源)으로 이용되어오다가 1978년 처음으로 학술조사가 실시되었다. 장암굴은 가로 6∼7m, 세로 6m 내외가 되는 입구로 시작되어 높이 1

  • 장애음 / 障碍音 [언어/언어/문자]

    공기의 폐쇄나 마찰 등 강한 방해 과정을 동반하며 발음되는 자음들의 무리. 자음을 조음 방식에 따라 구분하면 크게 파열음, 마찰음, 파찰음, 비음, 유음의 다섯 부류로 나눌 수 있다. 이 중 공기의 흐름이 완전히 폐쇄되거나 또는 좁은 틈 사이로 마찰을 일으키는 과정을

  • 장애인복지사업 / 障碍人福祉事業 [사회/사회구조]

    장애인의 인간다운 삶과 권리보장을 위하여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실시하는 제반 복지사업. 우리나라의 경우 장애인의 범위를 주로 의학적 모델에 입각하여 신체구조 및 신체기능상의 장애로 판정하고 있으며, 장애의 유형을 정하여 최저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각 장애유형에 있어서

  • 장애인올림픽대회 / 障碍人─大會 [예술·체육/체육]

    신체적으로 장애가 있는 운동선수들이 참가하여 펼치는 경기대회. 국제종합경기대회. 원명 ‘Paralympics’은 ‘paraplegia(하반신마비)’와 ‘olympics(오륜)’의 합성어로, 이는 1964년 동경 장애인올림픽대회 당시 주최측의 해석으로 쓰이기 시작했다.그

  • 장연군 / 長淵郡 [지리/인문지리]

    황해도 서단에 위치한 군. 1952년 행정구역 개편 시 옛 장연군의 북부 반가량인 장연읍을 비롯하여 용연면(龍淵面)의 일부와 순택면(蓴澤面)·신화면(薪花面)·낙도면(樂道面)으로 개편되었다. 현재 황해남도 서부에 위치하며, 동쪽은 삼천군, 남쪽은 용연군, 북쪽은 과일군,

  • 장연반도 / 長淵半島 [지리/자연지리]

    황해도 장연군에서 황해안으로 돌출한 삼각형의 반도. 동쪽에는 벽성군, 서쪽에는 장산곶, 남쪽에는 대동만(大東灣), 북쪽에는 송화군에 접하여 있다. 반도의 길이는 장산곶까지 약 60㎞에 이른다. 행정적으로는 장연읍·신화면·순택면·낙도면·목감면·용연면·대구면·후남면·해안면

  • 장연호 / 長淵湖 [지리/자연지리]

    함경북도 경성군 주남면·어랑면에 걸쳐 있는 호수. 어랑천(漁郎川) 하구 어대진 서북쪽에 있으며 그 형태가 복잡하다. 주위 26.4㎞, 최장경 7.6㎞, 최단경 1㎞, 면적 7.4㎢이다. 함경북도 제2의 호수이다. 길주·명천 지구대를 따라 흐르는 어랑천은 중하류에서 몹시

  • 장원집 / 藏園集 [종교·철학/유학]

    황원선(1798-1873) 의 문집. 석인본, 서:김황(1965), 발:황탁연(1965).7권 4책. 저자의 현손 황탁연이 1965년에 편집하여 간행한 것이다. 권두에 김황의 서문이 실려 있고 권말에는 저자의 종제 황란선과 황탁연의 발문이 있다.

  • 장은경 / 張銀景 [예술·체육/체육]

    해방 이후 대한유도회 이사, 대한올림픽위원회 선수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한 체육인. 1963년 의정부 중앙국민학교를 거쳐 1966년 의정부중학교를 졸업하였다. 당시 서울 소공동에 위치한 유도대학 부설 유도장에서 승급심사 때마다 상대 선수를 압도적인 기술 차이로 물리치는

  • 장자강수력발전소 / 將子江水力發電所 [지리/인문지리]

    북한의 행정구역상 자강도 압록강 중류에 있는 발전소. 만포시 연하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설비용량은 9만㎾이다. 1937년 건설되기 시작하여 광복 후에 완공되었다. 한국전쟁 당시 파괴된 설비를 1959년에 복구하였으며, 1963년 발전기 조작계통을 자동화하였다. 발전소의

페이지 / 501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