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기관단체 총 540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기관단체
조선어강습원 / 朝鮮語講習院 [언어/언어/문자]
1911년 국어·국문을 보급하기 위하여 조선언문회(朝鮮言文會) 산하에 설치한 강습기관. 1911년 9월 3일 주시경(周時經)의 사저에서 열린 국어연구학회(國語硏究學會) 총회에서 학회의 명칭을 ‘배달말글몯음[朝鮮言文會]’으로 바꾸고 그 산하의 강습소도 조선어강습원으로 개
조선어문연구회 [언어/언어/문자]
1946년 7월에 북조선인민위원회 교육국의 후원으로 조선 어문 연구자들이 조직한 단체. 조선어문연구회는 1946년 7월 당시 북조선인민위원회 교육국의 후원을 얻어, 조선 어문에 관심이 있는 몇몇 사람들이 발기하여 발족되었다. 이 단체는 해방 직후의 혼란한 우리 어문을
조선어문학회 / 朝鮮語文學會 [언어/언어/문자]
1931년 경성제국대학 조선어학 및 문학과 출신과 재학생들이 조직한 학회. 1924년 경성제국대학 조선어문학과는 1929년에 첫 졸업생으로 조윤제(趙潤濟)를 내고, 이어 이희승(李熙昇, 2회)·김재철(金在喆, 3회)·이숭녕(李崇寧, 5회)·방종현(方鍾鉉, 6회)을 내었
조선어학연구회 / 朝鮮語學硏究會 [교육/교육]
1931년 국어학의 연구와 한글맞춤법의 정리를 목적으로 박승빈이 조직한 학술단체. 이 회는 기관지 ≪정음≫을 꾸준히 속간하여, 1941년 4월 26일자 제37호로 폐간되기까지 약10년 동안 국어연구와 연구기반의 조성에 이바지하였다. 그리고 출간되지는 않았지만 일제 초기
조선여자체육장려회 / 朝鮮女子體育奬勵會 [예술·체육/체육]
1930년 서울에서 조직되었던 체육단체. 김인순(金仁順) 등 50여 명이 발기하여 1930년 5월 20일 관훈동에 있는 동덕여자고등보통학교에서 창립총회를 개최하였다. 초대 회장에는 조동식(趙東植)이 취임하였다.당시의 취지문을 통하여 창립 목적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장
조선연극문화협회 / 朝鮮演劇文化協會 [예술·체육/연극]
일제 말 예능의 일원화를 기하고 통제를 강화하기 위해서 조선연극협회와 조선연예협회를 통합 발족시킨 단체. 1942년 7월 26일 발족한 이 단체의 회장에는 신도요, 이사에 서항석 외 몇 명, 상임평의원에 유치진 외 몇 명이 임명되었다. 1944년 4월 '연극 연예 흥행
조선연극사 / 朝鮮演劇舍 [예술·체육/연극]
취성좌가 해체되고 그 후신으로 1929년 12월 창단한 극단. 지두한을 중심으로 이경환, 강홍식, 천한수, 권일청 등 당시 대중연극의 스타급인 30여 명의 단원과, 밴드부 30여 명, 그리고 연구생까지 합쳐 90여 명으로 이루어진 대규모 상업극단이었다. 1933년에 전
조선연극협회 / 朝鮮演劇協會 [예술·체육/연극]
1936년 8월 오정민, 박학, 이화삼 등 동경유학생들과 극예술연구회의 조직적 모순에 불만을 품고 극연실천부를 탈퇴한 사람들이 모여 신극운동의 보다 순수한 목표를 실현코자 만든 단체. 1936년 10월 부민관에서 몰리에르의 <수전노>를 가지고 창립공연을 가졌는데, 오정
조선영화감독구락부 / 朝鮮映畵監督俱樂部 [예술·체육/영화]
일제 말기 조선영화통제회사 시대에 한국인 영화감독만이 모여서 결성한 단순한 친목단체. 1943년 말에 발족하여 광복과 더불어 해산되었다. 이병일, 최인규, 신경균, 박기채, 이필우, 이명우 등이 참여하였다. 해산 후 영화재건에 대한 업무는 대한영화협의회로 계승되었다.
조선영화인협회 / 朝鮮映畵人協會 [예술·체육/영화]
1939년 8월 16일에 한일 영화인을 망라하여 창립된 협회. 이 단체는 같은 해 10월에 일봉에 영화법이 실시되자 조만간 한반도도 같아지리라 예상하고 전 영화인을 하나의 단체에 가맹시켜서 지도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1943년 10월 7일 조선총독부 도서과 영화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