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현대 5,00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현대
  • 이동안 / 李東安 [예술·체육/무용]

    해방 이후 중요무형문화재 제79호「발탈」 전승자로 지정된 기예능보유자.전통무용가. 경기도 화성군 송곡리 출생. 화성 재인청 도대방이었던 이재학(李在學)의 아들로 태어났고, 집안은 대대로 세습 재인집단이었다. 서당에서 한학을 공부했으나 14살 무렵 남사당패를 따라 가출하

  • 이만경본풀이 / 李萬頃─ [문학/구비문학]

    제주도 무속의 조상본풀이의 하나. 제주시 조천읍 북촌리성주이씨(星州李氏)집안에 계승되는 수호신의 내력담이다. 이 수호신은 만경령(萬頃令)벼슬을 지낸 조상이므로 이만경이라 일컫는 것이며, 벼슬을 지낸 조상의 내력담이므로 조상본풀이 중 홍부일월[紅牌日月]본풀이의 한가지가

  • 이매창묘 / 李梅窓墓 [문학/한문학]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읍 봉덕리에 있는 이매창의 묘. 이매창은 조선 중기의 기생이자 여류시인이다. 묘는 1983년 8월 24일 전라북도 기념물 제65호로 지정되었다. 현재 매년 음력 4월 5일 부안의 율객(律客)모임인 부풍율회(扶風律會)에서 매창제(梅窓祭)를 지내고 있다

  • 이명수폭포 / 鯉明水瀑布 [지리/자연지리]

    함경남도 혜산군 보천면 포대리(지금의 양강도 삼지연시 이명수노동자구)에 있는 폭포. 높이 15m, 너비 27m. 5개의 폭포로 되어 있는데 지하수 폭포이다. 이 폭포는 삼포산(三浦山, 1,503m)에서 발원한 이명수가 흐르는 골짜기의 산중턱에 있는데 지하수의 흐름맥에서

  • 이목온천 / 梨木溫泉 [지리/인문지리]

    황해남도 신천군 이목리에 있는 온천. 온천은 1750년 경에 발견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본래 ‘옻온수’라고 불렀는데, 벽성군 이목리가 1959년에 신천군에 편입되면서 소재지 지명을 따라 이목온천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이목리는 조선시대부터 알려진 마을로 ‘배나무 마을

  • 이물교구설화 / 異物交媾說話 [문학/구비문학]

    사람이 사람 아닌 동물이나 식물과 교구한다는 내용의 설화. 이 술어는 최상수(崔常壽)가 한국 전설을 분류하면서 전설분류항으로 설정한 것인데, 이물의 성격에 따라 동물교구설화와 식물교구설화로 나눌 수 있고, 이물이 남성의 구실을 하는 경우와 여성의 구실을 하는 경우로도

  • 이발소 / 理髮所 [사회/사회구조]

    남자의 머리털을 깎아 다듬거나 모발 염색, 얼굴 면도를 업으로 하는 장소. 이용원 또는 이발관이라고도 함. 이발소는 본래 서양에서 외과병원을 겸하기도 했기 때문에 간판이 적색·백색·청색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간판의 시초는 1540년 파리에서부터 시작되었다고 한다. 우

  • 이별가 / 離別歌 [문학/구비문학]

    남녀 사이의 이별의 애달픔을 노래한 잡가. 「춘향전」이나 「배비장타령」 등에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오래전부터 민간에서 애창되어왔음을 알 수 있다. 「춘향전」에서는 이도령이 춘향과 연연히 백년가약을 맹세함에 잇따라 남원부사에서 호조판서로 승진한 아버지를 따라서 이도령이

  • 이병위 / 李丙緯 [예술·체육/체육]

    해방 이후 『운동회 기획운영』, 『고등체육』, 『대학체육』 등을 저술한 학자.체육학자. 1906∼1973. 전라남도 담양 출생. 1926년 광주공립고등보통학교를 거쳐 1928년에 일본체육전문학교를 졸업하였다. 1932년 고창중학교 교사를 지냈으며, 1940년 전라남도

  • 이병학 / 李丙學 [예술·체육/체육]

    해방 이후 대한올림픽위원회 부회장, 대한체육회 부회장 등을 역임한 체육인. 1898∼1963. 본관은 전주(全州). 서울 출신. 평양 숭실학교를 졸업하고 덕원(德源)에서 독일계통의 성베네딕트수도원에서 2년간 수도하였다. 그 뒤 일본체육전문학교(지금의 일본체육대학)를 졸

페이지 / 501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