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현대 총 5,00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현대
율격 / 律格 [문학/고전시가]
장단, 고저, 발음 등 짜임새가 비슷한 말의 토막을 이어붙이는 문학창작의 한 방식. 한국 시가도 단순율격이면서 토막을 이루는 음절수가 고정되어 있지 않고 가변적인 점이 남다르다. 음절수를 나타내는 자수를 헤아려 34조, 44조 등의 자수율이 있다고 하는 견해가 한동안
율시 / 律詩 [문학/한문학]
한시 형식의 하나. 1구의 자수에 따라 5언·7언의 구별이 있다. 1구 5자인 경우는 오언율시, 1구 7자인 경우는 칠언율시이다. 같은 근체시인 절구보다 형식이 까다롭다. 대우(對偶)·성운(聲韻)·자수(字數)·구수(句數)가 모두 엄정한 규율에 맞아야 한다. 율시는 양(
윷노래 [문학/구비문학]
윷을 놀 때 부르는 민요. 유희요(遊戱謠)에 속한다. 내용은 대체로 희망하는 수가 나타나기를 바라는 것과 말판의 말이 빨리 달아나기를 바라는 것이 대부분이다. 가사가 ‘도·개·걸·모’를 해학적으로 풀이하여 읊고 있어 어희요의 성격도 띠고 있다. 이 노래는 거의가 개인창
은덕군 / 恩德郡 [지리/인문지리]
함경북도(咸鏡北道) 북동부 두만강(豆滿江) 하류 연안에 있는 군(郡). 북서쪽은 새별군, 서쪽은 회령시(會寧市), 남쪽은 나선직할시(羅先直轄市), 북동부는 두만강을 경계로 중국과 접하여 있다. 동경 129°55′∼130°18′, 북위 42°16′∼42°39′에 위치하고
은도끼금도끼 / 銀─金─ [문학/구비문학]
정직한 나무꾼은 금도끼를 얻고 욕심쟁이 나무꾼은 쇠도끼마저 잃게 되었다는 내용의 설화. 신이담(神異譚)에 속하는 설화 유형의 하나이다. ① 한 나무꾼이 산으로 가 나무를 찍다가 잘못하여 도끼를 연못 속에 빠뜨려 버렸다. 할 수 없이 울고 있자니 연못 속으로부터 백발노
은산군 / 殷山郡 [지리/인문지리]
평안남도 중부에 위치한 군. 은산군은 동쪽으로 성천군, 서쪽으로 순천시·평성시, 남쪽으로 강동군, 북쪽으로 북창군과 접해 있다. 군의 중앙부는 동경 126°01′, 북위 39°24′에 위치하고 있다. 면적은 501.3㎢로 도 면적의 3.9%를 차지한다. 인구는 19만
은유법 / 隱喩法 [언어/언어/문자]
표현하고자 하는 대상을 다른 대상에 비겨서 표현하는 비유법의 하나. 직유가 ‘A는 B와 같다’나 ‘B 같은 A’와 같은 형식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대상 A를 다른 대상 B에 동등하게 비유하는 것이라면, 은유는 ‘A는 B이다’나 ‘B인 A’와 같이 A를 B로 대치해 버리는
은율군 / 殷栗郡 [지리/인문지리]
황해도 서북부에 위치한 군. 동쪽은 안악군, 서쪽은 송화군, 남동쪽은 신천군, 북쪽은 황해와 대동강 하구에 면해 있다. 동경 125°02′∼125°37′, 북위 38°24′∼38°40′에 위치하며, 면적 467.4㎢, 인구 5만 8,140명(1944년 현재)이다. 7개
은율선 / 殷栗線 [지리/인문지리]
황해북도 은파군 은파(銀波)와 은률군 서해리(西海里)를 연결하는 단선철도. 이 철도는 황해북도 은파군, 황해남도 신천군·삼천군·황화군·과일군·은률군을 통과하며, 여기에 은파·양동·금산·재령·백석·창골·신천·해룡운·문화·삼천온천·산천·야촌·수교·구탄·송화·산수·과일·신대
은정구역 / 恩情區域 [지리/인문지리]
평양직할시(平壤直轄市)의 북쪽에 위치한 구역. 은정구역은 동쪽으로 평양직할시 삼석구역, 남쪽과 서쪽으로 평양직할시 룡성구역, 북쪽으로 평안남도 평성시와 접해 있다. 면적은 22㎢이고, 인구는 4만 7,569명(2008년)이다. 구역에는 과학원·리과대학·기계공학연구소·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