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인물 총 3,88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인물
황성하 / 黃成河 [예술·체육/회화]
1891-1965. 한국화가. 호는 우청(又淸). 개성 출생. 개성이 낳은 명성 높은 4형제 서화가(宗河·成河·敬河·庸河) 중 둘째로 지두화(指頭畵)의 명인이었다. 산수·인물·영모·신선도 외에 서예에도 능하여 조선미술전람회(鮮展)의 서예 부문에도 입선한 바 있으며,
황수일 / 黃壽一 [종교·철학/유학]
1666년(현종 7)∼1725년(영조 1). 증조부는 황언주이다. 벼슬에 뜻을 두지 않고, 경서에 침잠하였으며, 이남령의 문인이 되었다. 정시한과 왕래하였으며, 이유장과 교유하며 더욱 절차탁마를 하였다. 특히 예제에 밝았으며 세간의 이록이나 부귀에는 관심이 없었으며,
황술조 / 黃述祚 [예술·체육/회화]
1904-1939년. 서양화가. 호는 토수(土水). 경상북도 경주에서 대부호의 둘째아들로 출생하였다. 양정고등보통학교를 마치고 도일하여 1930년에 동경미술학교 양화과를 졸업하였다. 귀국 후 개성의 호수돈고등여자보통학교와 개성상업학교 교사로 재직하면서 작가생활을 시작
황신 / 黃愼 [종교·철학/유학]
1560(명종 15)∼1617(광해군 9). 조선 중기의 문신. 황형 증손, 할아버지는 황원, 아버지는 황대수, 어머니는 곽회영의 딸이다. 성혼과 이이의 문인이다. 1588년 알성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였다. 진주부사, 공조판서, 호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 ≪일
황양현 / 黃良鉉 [종교·철학/유학]
1863-1931. 일제강점기의 유학자로, 자는 순상(舜翔)이고, 호는 완월(翫月). 본관은 창원(昌原)이다. 아버지는 황재후(黃載厚)이고, 어머니 나주임씨(羅州林氏)는 임처권(林處權)의 딸이다. 어려서부터 총명하였으며 행실이 남달랐다. 집이 가난하였으나 독서를 게을
황에스터 / 黃Esther [역사/근대사]
1892-1971. 독립운동가. 일명 애덕(愛德)·애시덕(愛施德). 1913년 동료교사 김경희(金敬喜)와 교회 친구 안정석(安貞錫)과 더불어 비밀결사대인 송죽회(松竹會)를 조직하고, 애국사상이 깊은 학생들을 엄선하여 정신교육을 행하고 송죽회의 자회(子會)설립을 지도하
황여일 / 黃汝一 [종교·철학/유학]
1556(명종 11)∼? 조선 중기의 문신. 황세충의 증손, 할아버지는 황연, 아버지는 황응징이다. 1576년(선조 9)에 진사가 되고 1585년 개종계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1588년 검열, 예천군수, 길주목사, 동래진병마첨절제사를 역임하였다. 저서로는『조천록
황영 / 黃暎 [역사/근대사]
1848-1921. 일제강점기 의열(義烈). 남원시(南原市) 사매면(巳梅面) 출신이다. 1910년(융희 4) 한일합방(韓日合邦)이 되고, 1919년(융희 13) 고종이 승하(昇遐)하자, 나라 잃은 슬픔을 참지 못하고 비분강개(悲憤慷慨)하여 자결하였다. 그러나 가족들에
황용한 / 黃龍漢 [종교·철학/유학]
1744년(영조 20)∼1818년(순조 18). 아버지는 황직대이다. 이상정에게서 문장을 인정받아 일대의 홍유들이 교류하기를 청했다. 1780년(정조 2) 남성시를 보러가다가, 중도에 뜻을 굳히고 돌아와 소백산 두곡마을에 은거한 채 경전에 마음을 쏟았다. 정탁의《약포집
황웅도 / 黃熊度 [역사/근대사]
1901-1952.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사회주의운동가. 본적은 경상남도 고성(固城)이다. 1920년 12월 고성군 고성면에서 독립운동사상 고취를 위한 청년 중심의 일심회(一心會)를 결성하고 회장으로 활동하던 중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8개월 징역형을 선고받고 복역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