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현대 총 5,00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현대
계훈제 / 桂勳梯 [사회/사회구조]
1921∼1999. 사회운동가. 본관은 수안(遂安). 평안북도 선천 출신. 아버지 계봉집(桂鳳集)과 어머니 이형저(李亨姐)의 5남매 중에 막내로 출생하였다. 선천 신성(神聖)학교를 졸업한 뒤, 1943년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에 입학하여, 1948년 서울대학교 정치학과를
고가신조 / 古歌新調 [문학/고전시가]
국악인(國樂人) 죽헌(竹軒) 김기수(金琪洙 : 1917∼1986)가 77수의 고시조에 새 가락을 붙여 1967년에 편찬한 작곡집(창작국악가곡집). 목차 뒤에 『고금가곡』, 『해동가요』 등 10여종 고가집(古歌集)의 ‘서명약기표(書名略記表)’가 기록되어 있으나, 이들 원
고가연구 / 古歌硏究 [언어/언어/문자]
양주동(梁柱東)이 지은 향가 25수에 대한 주석서(註釋書). 1942년 박문서관(博文書館)에서 간행되었다. ≪삼국유사≫·≪균여전≫에 수록된 향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원서명은 ≪조선고가연구 朝鮮古歌硏究≫이다. 당시 향가주해서로서 상당한 권위가 있던 오구라(小倉進平)의
고교평준화정책 / 高敎平準化政策 [교육/교육]
교육의 평등성 실현이라는 이념 아래 고교간 교육격차를 완화하여 고교교육을 균등화하려는 정책. 1960년대에 중학교 입시경쟁이 치열해지자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1969년에 중학교 무시험 진학제도를 실시하게 되었다. 그 결과 초등학교에서의 입시위주 교육은 사라지게
고구려대학교 / 高句麗大學校 [교육/교육]
전라남도 나주시 다시면 백호로(복암리)에 있는 사립전문대학. 1995년 금성환경전문대학으로 설립인가되었으며, 1996년 2월부터 산업체 위탁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1997년 5개 학과에 200명을 증원하였다. 1998년 5월 나주대학으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02년
고군산군도 / 古群山群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북도 군산시 옥도면에 속하는 군도. 군산시의 서남쪽 약 50㎞ 해상에 위치하며, 옥도면에 소속되어 있는 군도(群島)이다. 선유도(仙遊島)를 비롯하여 야미도(夜味島)·신시도(新侍島)·무녀도(巫女島)·관리도(串里島)·장자도(壯子島)·대장도(大長島)·횡경도(橫境島)·소횡
고금시조선 / 古今時調選 [문학/고전시가]
1958년에 이주환(李珠煥)이 편찬한 시조집. 시조창을 위하여 기존 시조집에서 시조창에 적합한 것을 선별하여 철필로 등간한 책이다. 『고금가곡(古今歌曲)』, 『시조유취(時調類聚)』, 『고시조정해(古時調精解)』에서 고시조 368수, 『현대시조선총(現代時調選叢)』, 『현대
고기를 놓친 까마귀 [문학/구비문학]
허영심 때문에 먹이를 놓친 까마귀의 어리석음을 풍자한 설화. 이 설화는 까마귀의 어리석음을 통하여 참된 자기 모습을 제대로 파악, 분수를 지켜야 한다는 교훈적 주제를 담고 있다. 까마귀가 어쩌다가 고기 한 덩어리를 얻게 되어, 입에 문 채 나뭇가지에 앉았다. 마침 여우
고대정본풀이 / 高大靜本─ [문학/구비문학]
제주도 무속의 조상본풀이의 하나. 제주시 삼도동고만호(高萬戶) 자손 집안에 전해져 내려오는 수호신의 내력담이다. 집안 자손들의 집에서 굿을 할 때 집안의 수호를 빌기 위하여 심방[神房: 무당]에 의하여 불린다. 현재 고대장에 관한 본풀이는 세 편이 채록되고 있다. 이
고들빼기 / Youngia sonchifolia MAX [과학/식물]
국화과에 속하는 이년생 초본식물. 학명은 Youngia sonchifolia MAX.이다. ≪동의보감≫·≪제물보≫·≪물명고≫·≪명물기략≫에서는 ‘고채(苦菜)’라 하였다. ≪명물기략≫에는 “고채는 고도(苦荼)라고도 하는데, 이것이 고독바기가 되었다. 고들빼기의 대궁을 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