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현대 5,00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현대
  • 용연군 / 龍淵郡 [지리/인문지리]

    황해남도서부 해안에 있는 군. 북쪽은 장연군, 동쪽은 태탄군, 서쪽은 황해에 돌출한 장산곶이 있으며, 남쪽은 대동만(大東灣)을 건너 옹진군과 대하고 있다. 특히, 남서쪽 황해에는 휴전선을 끼고 백령도(白翎島) 등의 서해 5도와 대하고 있다. 동경 124°39′∼125°

  • 용연두루미살이터 / 용연두루미살이터 [지리/인문지리]

    황해남도 용연군 곡정리·원촌리·용정리에 있는 두루미 서식지. 북한 천연기념물 제412호. 서해안 일대는 두루미와 재두루미들이 무리를 지어 겨울을 나는데, 이곳은 논과 밭이 해안선으로 따라 길게 뻗어 있다. 용정리와 근록리 일대, 곡정리와 원촌리 일대에 두루미와 재두루미

  • 용연폭포 / 龍淵瀑布 [지리/자연지리]

    평안북도 영변군 북신현면(지금의 향산군 향암리)에 있는 폭포. 높이 84m, 너비 3m. 이 폭포는 묘향산의 법왕봉(法王峰, 1,391m)에서 흘러내리는 물이 모여 직경 3m, 깊이 1.5m 되는 용소를 만들고 여기에 차 있던 물이 넘쳐 떨어지면서 폭포를 이룬다. 폭포

  • 용운리백로왜가리번식지 / 용운리백로왜가리번식지 [지리/인문지리]

    평안남도 개천시 용운리에 있는 백로·왜가리 번식지. 북한 천연기념물 제44호. 천동역에서 구읍리 방향으로 약 6㎞ 지점에 용운리가 있고, 이곳에서 동남쪽으로 약 4㎞ 지점에 백로왜가리번식지가 있으며, 번식지의 주변은 기암절벽의 묘향산 줄기가 남서로 뻗어 있다. 용운리

  • 용원동굴 / 龍原洞窟 [지리/자연지리]

    평안남도 개천군 중남면(지금의 개천시 용원노동자구)에 있는 석회암동굴. 길이는 400m이다. 이 동굴은 1965년에 발견되었는데, 철석봉 중턱에 있는 석회암동굴로서 굴안에는 석순·돌꽃 등 종유석이 있는데, 특히 산석결정들이 발달되어 있다. 자연력의 신비성을 보여주는 이

  • 용유도 / 龍遊島 [지리/자연지리]

    인천광역시 중구 용유동에 속하는 섬. 인천에서 서쪽으로 24㎞에 있다. 동경 126°∼51′, 북위 37°∼27′에 위치한다. 동쪽에 오성산(五星山, 172m)이 있다. 조차가 커서 연안에 간석지가 크게 나타나며, 썰물 때는 주변의 여러섬들과 연륙이 되었으나 인천국제공

  • 용작 / 傭作 [사회/촌락]

    품팔이를 고용하여 농사 짓는 것을 통칭하는 말. 우리 나라의 농업 생산양식은 소농적 생산양식으로 특징지을 수 있으며, 그 노동력 동원 형태도 집약적인 가족노동형태가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다소간 토지가 많은 부농이나 일손이 모자라는 농가에서는 수도재배가 가지는 집약적 노

  • 용정굴 / 龍井窟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상로리에 있는 석회동굴. 용정산의 능선에 있으며 해발 250m 지점의 북향사면에 있다. 총연장은 130m이고, 주동굴의 연장은 87m이다. 용정굴은 구조지층적면에서 사암 및 응회암동굴이며, 지형적 측면에서는 수직동굴이다. 동굴 속에는 종유관·종유석

  • 용지 / 龍池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강릉시 포남동 1138-8에 있는 연못. 강원도 기념물 제3호. 면적 710.9㎡, 못의 면적 210㎡이다. 1971년 12월 16일에 지정되었다. 현재는 625㎡가 포함되며, 기획재정부의 소유로 되어 있다. 건물의 비각은 맞배지붕으로 되어 있으며, 비각의 정면

  • 용천군 / 龍川郡 [지리/인문지리]

    평안북도 서단에 위치한 군. 동남쪽은 철산군, 동북쪽은 신의주시·의주군, 서북쪽은 압록강을 사이에 두고 중국의 요령성 안동현(安東縣)과 마주보며, 서남쪽은 황해와 접하고 있다. 동경 124°11′∼124°41′, 북위 39°49′∼40°04′에 위치하며, 면적 570㎢

페이지 / 501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