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현대 5,00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현대
  • 계사 / 繼嗣 [사회/가족]

    조상의 제사 내지 종통의 계승과 관련된 가족제도. 입사(立嗣)·승조(承祧)·승가(承家)·계후(繼後)·봉사(奉祀)·승중(承重) 등의 용어와 기본적으로 뜻이 같으며, 특히 조선시대 이후에 정착된 종법(宗法)의 기본 개념이다. 우리나라는 고대로부터 조상숭배신앙 또는 죽은 뒤

  • 계산동은행나무 / 桂山洞銀杏─ [과학/식물]

    인천광역시 계양구 계산동 부평초등학교 구내에 있는 은행나무.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11호. 높이는 25m에 달하고 수령은 약 500년으로 추정된다. 위용을 자랑하는 노거수인데 원래는 부평 도호부(都護府) 청사의 뜰에 풍치를 목적으로 해서 심어진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은

  • 계수나무 / 桂樹─ [과학/식물]

    계수나무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교목. 일본원산으로서 높이는 25m, 지름은 1.3m에 달한다. 수피(樹皮)는 붉은 갈색으로서 세로로 얇게 갈라지며 잎은 마주나고[對生], 박태기나뭇잎모양의 넓은 난형이다. 길이와 너비는 각각 3㎝, 7㎝로 끝이 다소 둔하고 밑부분이 심장저(

  • 계양구 / 桂陽區 [지리/인문지리]

    인천광역시의 동북부에 위치한 구. 동쪽은 경기도 부천시, 서쪽은 서구, 남쪽은 부평구, 북쪽은 경기도 김포시에 접하고 있다. 동경 126°40′~126°47′, 북위 37°31′~37°35′에 위치한다. 면적은 45.57㎢이고, 인구는 33만 4332명(2015년 현재

  • 계요등 / 鷄尿藤 [과학/식물]

    꼭두서니과 계요등속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풀. 계요등은 꼭두서니과의 여러해살이 풀로 아시아 지역에 넓게 분포한다. 우리나라에서는 남부지방으로 갈수록 출현 빈도가 높다. 내륙에서는 주로 충청도 이남에서 자라고 해안지방에서는 울릉도와 대청도까지도 자란다. 농촌마을 근처 산기

  • 계원예술대학교 / 桂園藝術大學校 [교육/교육]

    경기도 의왕시 내손동에 있는 사립 전문대학. 1993년 3월 2년제 전문대학 학력인정학교인 계원조형예술학교로 개교하였다. 산업디자인과ㆍ환경디자인과ㆍ커뮤니케이션디자인과ㆍ조형과 4개 학과에 입학정원은 480명이었다. 1995년 12월 계원조형예술전문대학으로 승격되고, 19

  • 계절 / 季節 [지리/자연지리]

    기후의 추이에 따라 1년을 봄·여름·가을·겨울로 나눈 시기. 북반구 중위도에 위치한 우리나라는 4계절의 변화가 뚜렷하다. 봄·여름·가을·겨울 등 각 계절은 초봄·한여름·늦가을 등으로 세분되기도 하고, 초(初)·중(中)·만(晩)으로 자세히 구분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3

  • 계절풍 / 季節風 [지리/자연지리]

    계절에 따라 일정한 방향으로 부는 바람. 계절풍은 세계 곳곳에 나타나지만 아시아는 세계 최대의 계절풍 지역이다. 아시아 계절풍의 특징은 여름에는 남풍계의 바람이, 겨울에는 북풍계의 바람이 부는 것이나 지역의 위치와 지형에 따라 계절풍의 방향은 약간의 차이가 있다. 예를

  • 계층 / 階層 [사회/사회구조]

    사회 내 구성원들을 특정 기준에 따라 몇몇 집단으로 구분 짓는 사회범주.사회성층. 이 개념은 주로 개인 및 집단 사이에 존재하는 불평등을 논할 때 사용되는데, 계층은 기본적으로 높고 낮음이 있으며 사회과학 내에서는 계층 간의 장벽이 높을수록 불평등한 사회라고 말한다.

  • 계화도간척지 / 界火島干拓地 [지리/자연지리]

    전라북도 부안군 계화면 일대에 조성된 간척지.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에는 계화 대신 ‘계건이(界件伊)’라는 지명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계화라는 지명의 유래에 대해 명확히 밝혀진 바는 없다. 계화도 간척지는 2006년 새만금 간척사업의 일환인 방조제 물막이공사

페이지 / 501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