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고대 > 삼국시대 930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고대 > 삼국시대
  • 동사홀 / 冬斯忽 [지리/인문지리]

    강원도 철원 지역의 옛 지명. 신라의 영토가 된 뒤 757년(경덕왕 16)기성군(岐城郡)으로 고쳐 삭주도독부(朔州都督府)에 속하게 하였고, 1018년(현종 9) 현으로 강등시켜 금성현(金城縣) 기성면(岐城面)이 되었다. 일제강점기인 1908년 김화군(金化郡)에 병합되었

  • 동성 / 童城 [지리/인문지리]

    경기도 김포 지역의 옛 지명. 신라 경덕왕 때 동성현으로 이름을 바꾸어 장제군(長堤郡)의 영현으로 하였다. 고려시대에 수주(樹州)의 임내에 속하였다가 공양왕 때에 감무(監務)를 설치한 통진현(通津縣)에 병합되었다. 조선시대에는 통진현 봉성면(奉城面)이었던 곳으로 이곳

  • 동안 / 東安 [지리/인문지리]

    울산광역시 울주 지역의 옛 지명. 신라 경덕왕 때동안군으로 이름을 고쳐 경주의 속현으로 하였다. 신라 때는 회야강(回夜江) 남쪽 송정리(松亭里)의 해안 절벽 위에 숙마성(熟麻城)을 쌓고 만호직(萬戶職)을 두어 다스리게 하였다. 고려 태조 때 동안군에 속하였던 우풍현(虞

  • 동인도 / 銅人圖 [과학/의약학]

    인체의 경혈을 그림으로 표시한 의료용 인체해부도. 우리 몸의 오장육부에 생긴 병이 신체의 외부에 나타나는 자리를 한의학에서는 보통 경락(經絡)이라 하고, 이곳을 침이나 뜸으로 자극함으로써 병을 치료한다. 그리고 이 오장육부의 병을 치료하기 위해 침을 놓거나 뜸을 뜨는

  • 동잠 / 桐岺 [지리/인문지리]

    경상북도 김천 지역의 옛 지명. 757년(경덕왕 16) 금산(金山)으로 고쳐서 개령군(開寧郡)의 영현으로 삼았고, 1018년(현종 9) 경산부(京山府)에 이속되었으며, 1390년(공양왕 2) 감무를 설치하였다. 조선 정종 때 임금의 태(胎)를 묻은 곳이라 하여 군(郡)

  • 동제 / 棟堤 [지리/인문지리]

    강원도 정선 지역의 옛 지명. 본래 신라의 동토현(東土縣)이었는데, 757년(경덕왕 16)에 동제현으로 고쳐 명주군의 영현으로 하였다. 1906년 정선군 임계면이 되었다. 동제라는 이름은 동토(東土)와 같은 의미로 ‘새터ㆍ새말’의 뜻을 가진다. 신라 때 북쪽의 산간지역

  • 동진 / 東津 [지리/인문지리]

    울산광역시 울주 지역의 옛 지명. 본래 신라의 율포현(栗浦縣)이었는데, 757년(경덕왕 16 )동진현(東津縣)으로 고쳐 임관군(臨關郡)의 영현으로 하였다. 고려 태조 때 울산군으로 이속하였고, 1018년(현종 9) 유포진첨사(柳浦鎭僉使)를 설치하였다. 1397년(태조

  • 동평 / 東平 [지리/인문지리]

    부산광역시 부산진 지역의 옛 지명. 본래 신라의 대증현(大甑縣)이었는데, 757년(경덕왕 16 )동평현으로 고쳐 양주(良州) 영역의 동래군(東萊郡) 영현이 되었다. 1018년(현종 9 )양주(梁州)의 임내로 하였다가, 1405년(태종 5) 동래현에 이속시켰다. 1409

  • 두건 / 頭巾 [생활/의생활]

    머리에 쓰는 헝겊으로 된 간단한 모자. 두건의 형태는 고구려 고분벽화에서 볼 수 있으며, 복두 일색이던 통일신라를 지나 고려에 들어오면 ≪고려도경 高麗圖經≫·≪고려사≫ 등의 문헌에도 나타난다. 이에 기록된 사대문라건(四帶文羅巾)·오건사대(烏巾四帶)·문라두건(文羅頭巾)·

  • 두루마기 [생활/의생활]

    우리나라 고유의 겉옷. 좁은 의미로는 조선 말기에 도포(道袍)·창의(氅衣) 등의 제도가 없어지고 일반 사서인(士庶人)이 착용하기 시작하여 오늘날 입혀지고 있는 포제(袍制)를 말한다. 소매는 좁고 직령교임식(直領交衽式)이며 양 옆에 무를 달아 옆을 막고, 길이는 발목에서

페이지 / 93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