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현대 5,00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현대
  • 오복동설화 / 五福洞說話 [문학/구비문학]

    오복이 고루 갖추어진 이상촌(理想村)이 있다는 내용의 설화. 이 설화는 전국에 걸쳐 분포되어 있는데, 특히 「오복동설화」는 경상북도 상주 지방에, 「청학동설화」는 전라북도 남원 지방과 경상남도 하동 지방에 전하고 있다. 그리고 「도원설화」는 도연명(陶淵明)의 「도원기(

  • 오비도 / 烏飛島 [지리/자연지리]

    경상남도 통영시 산양읍 풍화리에 있는 섬. 동경 128°22′, 북위 34°48′에 위치한다. 산양읍 풍화리 수월마을에서 남쪽으로 0.5㎞, 곤리도에서 북쪽으로 3.7㎞ 지점에 있다. 면적은 0.82㎢이고, 해안선 길이는 2.3㎞이다. 한려해상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있다

  • 오사카이쿠노구한인촌 / 大阪生野區韓人村 [지리/인문지리]

    오사카(大阪)시 JR오사카 환상선 및 긴테츠(近鐵) 나라(奈良)선의 츠루하시(鶴橋)역과 모모타니(桃谷)역 중간 지점에 위치하는 한인들의 집중거주 지역. 현재 오사카(大阪)시 JR오사카 환상선와 긴테츠(近鐵)의 츠루하시(鶴橋)역과 모모타니(桃谷)역 중간 지점에 위치한 이

  • 오삼인천사태 / 五三仁川事態 [사회/사회구조]

    1986년 5월 3일 신한민주당 인천 개헌추진위원회 경기·인천지부결성대회가 노동자·학생들의 무력시위에 의해 무산된 사건. 민통련을 5·3사태의 배후로 삼아 대대적인 탄압에 나선 전두환 정권은 인천사태를 국가전복을 획책하는 용공좌익조직의 조직적 사건으로 규정하고, 검찰과

  • 오색온천 / 五色溫泉 [지리/인문지리]

    강원도 양양군 서면 오색리에 있는 온천. 높이 800m에 위치하여 우리나라에서 가장 높은 곳에 있는 온천이다. 조선 중기인 1500년경 이곳에 있는 성국사(城國寺)의 한 승려가 시냇가의 반석 위에서 솟아나는 약수를 발견하였는데, 오색석사 뜰에 오색화가 피는 특이한 나무

  • 오성과 한음설화 / 鰲城─漢陰說話 [문학/구비문학]

    오성 이항복(李恒福)과 한음 이덕형(李德馨)에 관한 설화. 오성과 한음은 조선 선조 때 명신으로, 어려서부터 친구로 지내면서 장난이 심하고 기지가 뛰어나 수많은 일화를 남겼다. 그중에 가장 널리 알려진 몇 개의 이야기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① 오성의 담력 : 한음으

  • 오소리굴 / ─窟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평창군 미탄면 마하리에 있는 석회동굴. 길이 80m. 지층은 고생대 조선계(朝鮮系) 대석회암통(大石灰岩統)에 속한다. 입구는 매우 낮아 기어서 들어갈 수밖에 없는 동굴로 8m 정도 들어가 앉아서 40° 내외의 급경사를 30m 내려가면 수직동굴로 연결된다. 퇴적물

  • 오수덕잣나무림 / 烏首德─林 [과학/식물]

    북한의 행정구역상 자강도 중강군 오수리에 있는 잣나무 숲. 북한 천연기념물 제114호. 해발 600∼700m의 남쪽 비탈면에서 형성된 잣나무의 단순림이며 면적은 44.8㏊이다. 토양은 현무암지대에서 생긴 산림밤색 토양이고 모래메흙으로서 약간 습한 편이다. 이 지역의 연

  • 오수유 / 吳茱萸 [과학/식물]

    운향과에 속하는 낙엽소교목. 중국 원산으로 경주지방에서 심고 있으며, 높이가 5m에 달하고 어린 가지에 털이 있다. 잎은 마주 나며 기수1회우상복엽(奇數一回羽狀複葉)이다. 소엽(小葉)은 7∼15개이며 난형·타원상 난형 또는 긴 타원형이다. 길이는 7∼8㎝로서 표면은 어

  • 오식도 / 筽篒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북도 군산시 오식도동에 있었던 섬. 군산에서 남서쪽으로 18㎞ 지점에 있고, 남쪽에 가도가 있다. 동경 126°34′, 북위 35°58′에 위치하며, 면적 1.76㎢, 해안선길이 6.3㎞, 인구 958명(1985년 현재)이다. 중생대 백악기의 화강암류가 기반암을 이

페이지 / 501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