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언어 709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언어
  • 언어지리학 / 言語地理學 [언어/언어/문자]

    한 언어 안의 방언적 변이나 친근한 언어들 사이의 변이를 지도 위에 표시함으로써, 각 변이의 동태적 관계를 지리적, 사회적, 문화적 측면에서 파악하려는 언어학의 한 분야. 언어지리학은 결국 각 지역 방언에 나타나는 변이형들과 그 분포에 근거하여 각 변이형들로 분화되기

  • 언어학 / 言語學 [언어/언어/문자]

    언어의 본질과 기능 그리고 변화를 연구대상으로 하는 인문과학의 한 분야. 과거와 현재의 모든 언어와 언어전달과정에서 생기는 물리적·생리적·심리적인 요인, 그리고 말을 기록하는 문자에 의한 표기체계 등이 연구대상이 된다. 이렇게 어느 한 언어에 한정되지 않고 언어일반에

  • 언음첩고 / 諺音捷考 [언어/언어/문자]

    1846년(헌종 12)에 시곡병부(詩谷病夫) 또는 석범(石帆)이 우리말의 소리나 한자음을 구별하기 위한 편람으로 만든 책. 2권 1책. 필사본. 상권의 끝에는 ㄷ종성고(終聲考)라 하여 ≪훈몽자회≫·≪동의보감≫·≪소학언해≫·≪사성통해≫에서 뽑은 ‘ㄷ’받침으로 끝나는 단어

  • 에스페란토 / esperanto [언어/언어·문자]

    폴란드인 자멘호프가 1887년에 공표하여 사용하게 된 국제 보조어. 총 28개의 자모로 구성되어 있다.

  • 여사서언해 / 女四書諺解 [언어/언어·문자]

    1736년(영조 12)에 이덕수가 언해한 여자들의 수신교화서. 4권 3책. 개주갑인자활자본. ≪어제여사서언해≫의 서와 범례에 의하면 중국의 ≪여사서≫와 소혜왕후의 내훈을 각각 언해하여 널리 펴게 명한 것을 알 수 있는데, 중국의 ≪여사서≫의 순서(여계·내훈·여논어·여

  • 여소학 / 女小學 [언어/언어/문자]

    1882년(고종 19) 박문호(朴文鎬)가 부녀자들에게 필요한 글을 모아 언해한 부녀자용 교육서. 제1책의 앞에 제사(題辭), 목록(目錄)이 있고, 권1의 본문이 이어진다. 제6책의 뒷부분에 여소학발(女小學跋)과 후발(後跋), 그리고 자훈방언동이고(字訓方言同異考)가 들어

  • 여요전주 / 麗謠箋注 [언어/언어/문자]

    양주동(梁柱東)이 고려시대 가요를 주해한 주석서. 이 책은 저자가 서문에서 밝혔듯이, 1942년 박문서관(博文書館)에서 펴낸 신라향가를 주석한 ≪조선고가연구 朝鮮古歌硏究≫의 속편이며, 주석의 대부분은 8·15광복 이전에 집필하여 발표한 것을 수합하여 증보하고 보완한 것

  • 여훈언해 / 女訓諺解 [언어/언어/문자]

    1532년(중종 27)에 최세진(崔世珍)이 『여훈』을 언해하여 교서관(校書館)에서 간행한 책. 2권 2책. 목판본. 이 책은 최세진이 언해한 『여훈언해』의 중간본일 가능성도 생각할 수 있으나, 이 책의 앞에 명나라 세종이 1530년에 쓴 『어제여훈서(御製女訓書)』가 있

  • 역대천자문 / 歷代千字文 [언어/언어/문자]

    1911년에 이상규(李祥奎)가 간행한 천자문 형식의 학습서. 집안 아이들 교육에 관심이 많았던 혜산(惠山) 이상규는 고성 무양리에서 산청 묵곡으로 이거한 후에 1902년 학이재(學而齋)를 창건하였다. 이상규는 자질 교육을 위해 교재 편찬에 착수하여 1910년 책의 본문

  • 역설법 / 逆說法 [언어/언어/문자]

    수사법 중 변화법의 하나. 표면적으로는 모순되거나 부조리한 것 같지만 그 표면적인 진술 너머에서 진실을 드러내고 있는 수사법이다. 역설법은 앞의 두 예나 “두 볼에 흐르는 빛이/정작으로 고와서 서러워라”, “아아, 님은 떠났습니다만, 나는 님을 보내지 아니하였습니다.”

페이지 / 71 go